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 6시간여 만에 해제한 4일 서울 광화문역에 비상계엄 관련 호외가 놓여 있다. /사진=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 6시간여 만에 해제한 4일 서울 광화문역에 비상계엄 관련 호외가 놓여 있다. /사진=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재선포 가능성에 재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주요 기업은 긴급 사장단 회의를 개최하고 전담팀을 만드는 등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계엄 여파에 상법 개정안 토론회도 취소되면서 기업 경영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우려가 나온다.

4일 재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기업들은 이날 직원들에게 계엄 사태와 관련된 별다른 근무 지침은 내리지 않았다.


삼성전자와 LG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국내 대기업들의 제조공장도 4일 아침 8시 현재 정상 가동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SK는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주관으로 4일 오전 주요 경영진이 참석하는 대책회의를 소집해 시장 및 그룹에 미칠 영향을 등을 논의했다.

HD현대는 이날 오전 7시30분 긴급 사장단 회의를 소집했다. 사장단 회의에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경제 상황을 집중 점검하고 각사별 대응전략을 수립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권오갑 HD현대그룹 회장은 "국내외 상황이 긴박하게 움직일 것으로 예상돼 각 사 사장들은 비상 경영에 준하는 인식을 가져야 하며, 특히 환율 등 재무 리스크를 집중적으로 점검해 달라"고 주문했다. 권 회장은 이어 "조선 등 생산 현장에서는 원칙과 규정 준수에 더욱 유념해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하게 신경 써달라"고 당부했다.

다른 주요 기업들 역시 외환시장과 금융 상황을 먼저 모니터링하면서 오전 회의를 통해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번 계엄 파장으로 인해 기업들이 비상근무 시스템 같은 특별 조치를 가동하는 곳은 아직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상계엄 여파에 이날로 예정돼있던 더불어민주당 주관 상법 개정안 토론회도 취소됐다. 상법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 의무를 주주로 확대하고 집중투표를 의무화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경제계에서는 해당 법안이 무분별한 소송을 남발하고 해외자본의 '먹튀'를 조장함으로써 기업 활동 위축을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한다.

이날 토론회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직접 좌장을 맡을 예정이었다. 야당과 재계가 만나 상법 개정안을 논의해야 했으나 비상계엄 선포에 무산되면서 기업들 경영환경이 더욱 불확실해졌다는 목소리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