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철도노동조합이 오는 5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사진은 KTX가 정차해 있는 모습. /사진=뉴스1
전국철도노동조합이 오는 5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사진은 KTX가 정차해 있는 모습. /사진=뉴스1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이 오는 5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다. 이에 정부가 긴급 수송대책을 발표했다.

4일 밤 뉴시스에 따르면 철도노조는 이날 오후 4시부터 임금인상과 임금체불 해결, 성과급 정상화 등을 두고 코레일과 막판 협상을 벌였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철도노조는 "쟁점이 크고 이견이 해소되지 않았다"며 "사측은 경영진 책임을 외면했고 성과급 체불 해결 방안을 마련하지 못했으며 외주인력감축 문제도 여전했다"고 밝혔다. 이어 "막판 교섭이 결렬됨에 따라 철도노조는 5일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덧붙였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오전 9시부터 철도파업 대비 정부합동 수송대책본부를 24시간 가동하고 있다. 국토부는 "철도는 노동조합법상 필수유지업무로서 철도노조 파업 시에도 일정 운행률을 반드시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토부는 출퇴근 시간대 광역전철과 KTX에 동원 가능한 대체인력을 집중 투입해 열차 운행률을 최대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광역전철 운행률은 평시대비 76%, KTX 운행률은 평시대비 67% 수준(SRT 포함시 75% 수준)으로 운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광역전철 운행률은 이동 수요가 적은 낮 시간대에는 운행률을 줄이고 이용객이 많은 출근시간대(오전 7~9시)에 90%(1호선 및 수인분당선 95%), 퇴근시간대(오후 6~8시)에는 85%로 운행한다는 계획이다. 코레일이 운영하지 않는 SRT, GTX-A, 인천공항철도 등은 정상 운행한다.


대체 수송 수단인 대체 버스 운행 대수를 최대한 확보할 방침이다. 잔여좌석과 증차를 통해 고속버스 2만6000석 이상, 전세·시내버스 7만9000석 이상을 확보할 예정이다.

파업 시작일인 오는 5일 오전 4시부터 파업 종료일 24시까지 각 지자체 내에서만 운행할 수 있던 서울·인천·경기 지역 택시들은 사업구역 외 영업에 대해 상호간 단속유예를 통해 한시적 영업을 허용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