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월 아파트분양전망지수가 전국적으로 크게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정부의 아파트 대출 규제에 분양시장도 경색된 것으로 풀이된다.
5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2월 전국 아파트분양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16.2포인트 떨어진 평균 82.0을 기록했다.
수도권은 25.4포인트(108.8→83.4) 비수도권은 14.2포인트(95.9→81.7)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서울 -18.8포인트(108.3→89.5) 경기 -19.9포인트(103.2→83.3) 인천 -37.4포인트(114.8→77.4) 모두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비수도권에서는 광주만 1.3포인트(88.2→89.5) 상승 전망됐다. 이밖에 충남 -28.6포인트(100.0→71.4) 제주 -25.0포인트(100.0→75.0) 충북 -22.2포인트(88.9→66.7) 경남 -21.4포인트(100.0→78.6) 부산 -17.4포인트(94.7→77.3) 전북 -16.7포인트(91.7→75.0) 경북 -16.7포인트(100.0→83.3) 울산 -14.7포인트(93.3→78.6) 대전 -10.5포인트(100.0→89.5) 강원 -10.0포인트(90.0→80.0) 대구 -8.5포인트(104.5→96.0) 세종 -6.3포인트(106.3→100.0) 전남 -1.3포인트(84.6→83.3) 대폭 하락이 전망됐다.
이 같은 현상은 정부의 대출 규제로 인해 매수 심리가 위축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주산연 관계자는 "지난 8월 중순 이후 지속 강화된 주택담보대출 규제와 신규 분양 아파트 중도금·잔금 대출 규제가 겹치면서 분양·매수 심리가 크게 위축됐다"며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연속 인하를 단행했지만 가계대출을 관리해야 하는 시중은행은 인위적으로 가산금리를 올리고 있어 여전히 금리 부담이 적지 않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트럼프 당선 이후 관세 정책, 달러 강세 현상, 미·중 무역 갈등 등 교역환경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내년 초 은행의 대출 재개와 기준금리 추가 인하에 대한 기대감 등이 앞으로 분양전망 개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밖에 12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4.8포인트 하락한 104.3,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2.6포인트 떨어진 91.3,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95.5로 전월과 동일할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설문 조사는 11월 18~27일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