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에 참석해 국민의례를 하는 모습. 국방부에 따르면 김 전 장관은 이날 밤 전군 주요 지휘관 회의를 개최해 비상계엄을 지시했다. 김 전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계엄 선포를 건의했다고 밝혔다. /사진=뉴스1 허경 기자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에 참석해 국민의례를 하는 모습. 국방부에 따르면 김 전 장관은 이날 밤 전군 주요 지휘관 회의를 개최해 비상계엄을 지시했다. 김 전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계엄 선포를 건의했다고 밝혔다. /사진=뉴스1 허경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를 주도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계엄 해제 이튿날인 지난 5일 오후부터 휴대전화를 최소 3차례 바꿨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황정아 의원(더불어민주당·대전 유성구을)이 10일 각 통신사로부터 제공받은 자료에 따르면 김 전 장관은 지난 5일 오후 5시6분 통신사를 교체하고 번호 이동과 새 휴대전화를 개통했다.


김 전 장관은 이어 1시간21분 만인 같은 날 6시27분 유심칩을 이동시켜 다시 새 휴대전화를 사용했다. 다음 날인 6일 오후 10시28분에는 한 차례 더 유심칩을 옮겼다.

조지호 경찰청장도 계엄 해제 후 나흘 동안 휴대전화를 두 차례 교체했다고 황 의원은 밝혔다. 조 청장은 6일 오후 2시37분 휴대전화 기기를 교체했고 이틀 뒤인 8일 오후 2시24분 다시 기기를 바꿨다.

이와 관련 경찰청 대변인실은 조 청장이 지난 6일 휴대전화를 경찰 국가수사본부에 임의제출한 뒤, 같은 날 오후 업무수행을 위해 새 유심칩을 발급받아 공기계에 장착했다고 해명했다. 8일 임의제출한 휴대전화를 다시 돌려받아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고 대변인은 전했다.


황 의원은 조 청장의 휴대전화 교체에 대해 "기존 휴대전화를 제출하기 위해 기기를 변경했더라도 이틀 만에 분석이 끝난 점은 의구심을 가질 수 있는 상황"이라며 "검경에 수사를 일임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