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덕수 국무총리가 윤석열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에서 거론한 총선 부정선거 의혹에 대해 "부정선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13일 뉴스1에 따르면 한 총리는 이날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위헌적 비상계엄 선포 내란 행위 관련 긴급현안질문'에 참석해 조정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 과정에서 이같이 답했다.
한 총리는 지난 12일 진행된 윤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 관련 생각을 묻는 질문에 "대통령이 모든 정치적, 법적 책임을 회피하지 않겠다고 말했고, 따라서 절차에 따라 법과 국민이 판단할 것"이라고만 답했다. 이어 '12·3 비상계엄이 헌정 질서를 파괴하는 내란 범죄냐'는 질문에는 "앞으로 수사 과정을 통해 (밝혀질 것)"이라고 말하며 명확한 답을 피했다.
한 총리는 '국회와 민주당, 계엄 반대 국민이 반국가 세력이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 총리와 관계 국무위원들이 지난 3일 비상계엄 선포 전 국무회의에서 부서(서명)했냐는 질문에는 "모두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한 총리는 '아무도 부서를 안 했으면 계엄 선포는 헌법 위반'이라는 말에 "앞으로 사법 절차를 통해 명료하게 (밝혀질 것)"이라며 "굉장한 절차적, 실체적 흠결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한 총리는 내란죄 혐의로 고발돼 피의자 신분으로 수사기관으로부터 소환 통보를 받은 것에 대해 "수사절차에 따라 잘 협력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피의자 신분이란 것은 내란 계엄 동조자가 될 수 있다는 얘기'라는 지적에 "그것 역시 제가 적극적으로 수사에 협조해 수사당국이 결정하리라 생각한다"며 "저는 그런 적이 없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군이 무인기를 보냈다는 의혹 등에 대해 지시 권한을 갖게 되면 지시하겠나'라는 질문에는 "앞으로 그럴 상황이 된다면 그때 상황에서 판단해 보겠다"며 계속해서 명확한 답을 회피하는 태도를 보였다.
|
윤 대통령은 지난 12일 대국민 담화에서 선거관리위원회의 부정선거 의혹을 제시했다. 그는 "국정원의 선관위 시스템 점검 결과 얼마든지 데이터 조작이 가능했고 방화벽도 사실상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며 국민의힘이 참패한 지난 4월 제22대 총선이 부정선거였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선관위는 "부정선거는 불가능한 시나리오"라며 "선거 과정에서 수차례 제기된 부정 선거 주장은 사법 기관의 판결을 통해 모두 근거가 없다고 밝혀졌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부정 선거에 대한 강한 의심으로 인한 의혹 제기는 자신이 대통령으로 당선된 선거 관리 시스템에 대한 자기 부정과 다름없다"고 윤 대통령을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