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에 따라 유통업계가 소비심리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 지난달 서울 소재 한 대형마트가 장을 보러 나온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사진=뉴스1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에 따라 유통업계가 소비심리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 지난달 서울 소재 한 대형마트가 장을 보러 나온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사진=뉴스1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가운데 유통업계는 위축됐던 소비심리가 되살아나 연말 특수를 누릴 수 있길 기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선 국민과 정부 모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1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주요 채널인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은 이번 탄핵소추안 가결이 소비심리 회복엔 다소 도움이 되겠지만 단기간 큰 영향은 주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소비자들은 탄핵 정국에 소비심리가 위축돼 연말 단체모임을 취소하는 등 지갑을 열지 않았다. 12월 연말 특수를 기대했던 유통가가 직격탄을 맞았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가뜩이나 불경기였는데 비상계엄 사태가 12월 특수에 찬물에 끼얹었다"면서 "탄핵소추안 가결이 소비심리 진작에 다소 영향을 주겠지만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한다"고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또 다른 관계자는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소비심리가 조금씩 올라오는 흐름을 타지 않을까 한다"면서 "연말 프로모션과 이벤트에 보다 많은 소비자가 관심을 가져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소비심리 회복과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선 국민과 정부가 함께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소비자는 지갑을 열고 당국은 민생이 후순위로 밀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정치인들은 남은 탄핵 절차를 밟고 국민들은 일상으로 돌아갈 때다. 소비자들은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연말모임 등 기존 약속을 취소하지 말고 지갑을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앙정부는 혼란스러운 상황이지만 관련 예산을 조기 집행하는 등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야 하고 지방정부도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 등 남은 절차가 있어 불확실성은 여전하다"며 "정치권은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함과 동시에 민생을 위한 정책 과제 등이 후순위로 밀리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