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이 우크라이나로 파병을 간 북한군 중 100여명 사망하는 등 피해를 입었으며 추가 파병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간담회에 참석한 조태용 국정원장(왼쪽 두번째)과 신성범 정보위원장(가운데), 이성권 여당 간사(오른쪽 두번째) 등이 대화를 나누는 모습. /사진=뉴스1
국정원이 우크라이나로 파병을 간 북한군 중 100여명 사망하는 등 피해를 입었으며 추가 파병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간담회에 참석한 조태용 국정원장(왼쪽 두번째)과 신성범 정보위원장(가운데), 이성권 여당 간사(오른쪽 두번째) 등이 대화를 나누는 모습. /사진=뉴스1

국정원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된 북한군 중 1000여명이 부상을 당했고 100여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또 북한이 러시아에 보낼 추가 병력을 차출하고 있으며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의 훈련 준비 참가 정황이 포착되고 있다고 전했다.

19일 뉴스1에 따르면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여당 간사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정보위원회 비공개 간담회를 마친 후 러시아군에 참전한 북한군 중 1000여명이 부상을 입었고 100여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시 예상되는 종전 협상으로 인해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며 "쿠르스크 지역은 러시아의 막바지 영토탈환 지역으로 최대 격전지"라고 전했다. 이어 "이로 인해 쿠르스크에 1만1000여명으로 추정되는 북한군의 일부가 12월 들어 실제 전투에 투입되기 시작했고 이 과정에서 최소 10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며 "부상자는 1000여명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국정원은 보고했다"고 알렸다.

이 의원은 "이번 교전 전에도 북한의 미사일 드론 공격 및 훈련 중 사고로 고위급을 포함한 사상자가 발생한 정황도 포착됐다"고 했다. 또한 "사상자가 다수 발생한 배경에는 개활지란 낯선 전장 환경에서 북한군이 돌격대 역할로 소모되고 있으며 드론 공격에 대한 대응능력 부족이라고 (국정원은) 설명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러시아군 내에서는 북한군이 드론에 대해 무지해 오히려 짐이 된다는 불평이 나오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국정원은 (북한) 폭풍군단 내에서 추가 병력 차출설이 돌고 있다. 김정은의 훈련 준비 참가 정황이 포착되고 있다"며 "북한군의 추가 파병 가능성을 예의 주시하고 있으며 러시아의 북한 재래식 무기 현대화 등 반대급부 제공을 예상하고 있다고 한다"고 전했다.


북한의 파병 규모 전망에 대한 질문에 이 의원은 "폭풍군단은 10여 개 단으로 구성돼 있고 4만6000명의 군사력을 갖고 있다"며 "그중 1만1000명 정도 파병돼 있기 때문에 추가 파병한다면 폭풍군단 중심으로 북한이 파병 여력을 갖고 있다고 해석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북한 군이 12월 들어 참전했단 사실, 1월 20일이 되면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서기 때문에 그전까지 쿠르스크 중심으로 전황이 격화될 가능성이 높아 북한군 사망자나 부상자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중요한 지적이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