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생존자가 의사소통은 가능한 상태로 알려졌다. 사진은 29일 사고가 발생한 무안공한 사고 현장. /사진=뉴시스
전남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생존자가 의사소통은 가능한 상태로 알려졌다. 사진은 29일 사고가 발생한 무안공한 사고 현장. /사진=뉴시스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추락 사고에서 극적으로 구조된 남성 승무원이 사고 당시 상황에 대해 "깨어보니 구조돼 있었다"는 취지로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웅 이대서울병원장은 29일 밤 9시 서울 강서구 이대서울병원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생존자 이모씨(33)의 현상태를 전했다. 주 병원장은 "트라우마도 있고 회복에 도움이 되지 않겠다는 판단에 따라 사고 당시 상황에 대해 자세히 묻지 않았다"고 언급하며 "'깨보니까 구조돼 있었다'는 정도만 말했다"고 설명했다.


'뇌진탕이냐'는 질문에는 "뇌진탕 진단을 위해서는 MRI 촬영을 해야 하는데 경추와 흉추 외상으로 우려되는 부분이 있어 정밀 검사를 시행하지 못했다"며 "시기에 따라 추가적인 검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답변했다.

이씨는 사고 직후 현장 무안공항 인근 목포한국병원으로 후송됐다. 하지만 가족의 끝에 따라 오후 4시14분쯤 서울 강서구 이대서울병원 응급실에 도착했다. 검사 결과 흉추와 견갑골, 늑골 등에 골절 진단을 받고 현재 중환자실에 입원한 상태다.

주 원장은 "환자는 목을 움직일 수는 없지만 시선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고 질문에 대한 적절한 대답도 할 수 있는 상태"라며 "의사소통을 할 수 있지만 사고에 대한 질문 안 드렸기 때문에 기억상실증을 말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불안 증세를 보이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이번 사고와 관련한 내용은 시간이 얼마 되지 않아 심리적 내용에 대해 제대로 된 평가는 이뤄지지 않았다"며 "그 부분도 정신건강의학과와 협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