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 무안국제공항 여객기 사고로 수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둔덕이 사고를 키웠다'고 분석했다.
30일(이하 한국시각) 영국 스카이뉴스에 따르면 영국 공군 출신 항공 전문가 데이비드 리어마운트는 "무안공항 둔덕 설치는 범죄행위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데이비드는 "비행기는 착륙 당시 시속 200마일(321㎞)의 속도를 내고 있었다. 활주로를 미끄러지며 이탈했는데 이때까지도 기체 손상은 거의 없었다. 이 둔덕에 부딪히기 전까지는 말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조종사가 처했던 상황을 고려하면 가능한 한 최상의 착륙을 했다고 본다"며 "착륙 활주가 끝날 무렵 기체엔 큰 손상이 없었고 화재도 발생하지 않았다. 그런데 항공기가 둔덕에 부딪혀 불이 나면서 탑승자들이 목숨을 잃었다"고 분석했다.
데이비드가 언급한 둔덕은 '로컬라이저 안테나'가 설치된 구조물을 가리킨다. 로컬라이저 안테나는 항공기 착륙을 유도하는 시설로 보통 활주로와 같은 높이에 설치되지만, 무안공항에서는 경사로 인해 흙더미 위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됐다.
데이비드는 "저런 구조물이 거기 있어서는 안 된다"며 "로컬라이저 안테나는 원래 있어야 할 위치에 있긴 하지만 저렇게 단단한 구조물 안에 박혀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벽 너머는 평평한 지형이다. 항공기가 조금 더 달려가면서 속도를 줄여 멈출 만한 공간은 충분했고 그렇게만 됐다면 모두 살았을 것"이라며 "활주로와 불과 200m 거리에 저런 벽이 있다는 건 전 세계 어디에서도 본 적이 없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출신 파일럿으로 사고 여객기와 같은 기종인 보잉 737을 운행 중인 데니스 다비도프도 콘크리트 벽을 지적했다. 그는 지난 29일 자신의 유튜브를 통해 "로컬라이저가 달린 벽이 보이는데 정말 말도 안 되게 크다"며 "누가 디자인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너무 과하다. 왜 활주로 끝에 저런 게 필요하냐"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