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모든 임직원들의 마음과 의지를 하나로 모아 어려운 경영 환경을 극복하고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하는 담대한 희망의 여정을 시작하자"며 직원들을 격려했다.
장 회장은 2일 신년사를 통해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등 그룹의 주력 사업들이 생존을 고민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음을 냉정하게 인식해야 한다"고 진단한 뒤, "현재의 난관을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 새로운 도약을 하자"며 2025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과제를 제시했다.
장 회장은 "안전은 무엇과도 타협할 수 없는 가장 중요한 가치이고 강건한 설비는 우리 사업 경쟁력의 근원"이라며 "단기 성과에만 몰두해 안전 준수와 설비 강건화를 양보하는 어떤 행동도 용인될 수 없다"고 했다.
그는 지난해 발생한 화재사고의 대응하기 위한 안전 수칙을 강조했다. 사고 당시 설비강건화 TF(태스크포스) 발족하고, 포스코홀딩스 임원들의 근무체제를 격주 4일제에서 주 5일제로 전환한 바 있다.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의 절대적 우위 확보도 강조했다. 장 회장은 "지주회사 중심으로 기업 R&D(연구개발) 체제를 구축해 R&D부터 생산, 판매 전 과정에서 기술과 사업 전략 간 연계를 강화하고 실효성과 성장성이 큰 과제 중심으로 기술 개발 체계를 고도화하자"고 했다.
철강 사업에 대해 인도와 북미 등 해외시장에서 소재부터 완결형 현지화 전략에 나서 성과를 내야한다고 했다. 원가의 구조적 혁신, 전기로를 올해 내 준공 목표로 추진하는 등 저탄소 생산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계획도 제시했다. 장 회장은 "생존을 위해 원가의 구조적 혁신이 선행돼야 한다"며 "지난해 도출한 설비 효율화 계획은 신속하게 성과를 내고, 연 원료 조달구조 개편, 원가 절감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했다.
이차전지소재 사업 관련해선 "밸류체인 가운데 부가가치가 높은 리튬 등 우량 자원을 적기에 확보해 글로벌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상업 생산을 시작한 법인들의 조업을 빠르게 안정화하는 것은 물론 원가와 품질 측면에서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갖춰 나가야 한다"며 "시장과 정책 변화에 따라 투자 사업의 속도를 유연하게 대응하는 가운데 질적 성장에 집중해 글로벌 톱티어 달성이라는 목표에 매진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