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지난해 7월 22일 서구 광주청년일자리스테이션 상무센터에서 열린 39번째 월요대화에 참석해 ‘중소기업은 살리고 청년은 머무르고’를 주제로 대화를 나누고 있다./사진=광주시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지난해 7월 22일 서구 광주청년일자리스테이션 상무센터에서 열린 39번째 월요대화에 참석해 ‘중소기업은 살리고 청년은 머무르고’를 주제로 대화를 나누고 있다./사진=광주시

광주광역시는 올해 청년 일자리·복지 정책을 확대한 '청년 곁에 광주'를 본격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지역 청년이 구직 활동을 하며 고용시장으로 빠르게 진입할 수 있도록 구직활동 수당을 기존 250만원에서 300만원(50만원씩 6개월)으로 확대한다. 개별 상담을 제공하고 기업탐방 프로그램도 마련한다.


청년의 직무적성을 반영해 일경험 기회를 제공하는 일경험드림사업은 기존 주 25시간 5개월 근무에서 원하면 주 40시간 3개월까지 선택할 수 있다. 참여 사업장에서 청년을 1년 더 채용하면 최대 240만원까지 장려금을 지원한다.

청년들이 구직을 단념하지 않도록 일자리 스테이션의 참여 대상자를 7000명에서 8000명으로 확대한다. 구직활동의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게 4종 서비스인 자격증 취득 지원, 면접 정장 대여, 이력서 사진 촬영, 인공지능(AI) 모의 면접 프로그램 등을 무료로 제공한다.

구직 단념 청년과 자립 준비 청년 등 저 활력 청년에게 맞춤형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50만원에서 최대 350만 원까지 참여 수당과 특전(인센티브)을 지급하는 청년 도전 지원사업을 180명 대상으로 추진한다.


지역 청년의 자립과 정착을 위해 필수적인 주거·복지 정책도 확대한다.

'광주형 청년 일자리 공제'를 200명에서 올해 500명으로 늘린다. 5인 이상 중소기업 재직 청년의 장기근속을 유도할 수 있도록 청년이 2년간 500만원을 모으면 광주시와 기업이 500만원을 지원해 만기 공제금 1000만원을 지급한다.

일하는 청년의 삶을 응원하는 청년13(일+삶)통장은 620명을 대상으로 월 10만원씩 10개월 저축하면 광주시에서 100만원을 지원하는 맞춤형 금융교육도 제공한다.

주택 임차보증금 대출이자 연 2.5% 중 2%를 최대 4년까지 5억 5000만원 예산 범위에서 지원한다.

독립거주 무주택 청년 대상으로 청년 월세 특별지원을 통해 월 20만원 임차료를 최대 24개월까지 지원한다. 청년월세는 5000여 명에게 지원하며 1차 신청자를 2월까지 추가 접수한다.

청년부채 문제 해소를 위한 청년 재무상담소(드림은행)를 운영하고 연 9000여 명인 군복무 청년을 위해 군복무 중 피해 발생 시 최대 3000만원의 보험금을 지급하는 군복무 청년 상해 보험사업도 계속 추진한다.

김기숙 시 교육청년국장은 "어려운 재정 여건에도 청년들의 취업과 복지 지원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확대하고 개선했다"며 "앞으로도 청년 만족도를 높이는 정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