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 가족이 모여 담소를 나누고 맛있는 음식도 먹는 즐거운 설 명절에 예기치 않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연휴기간이면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평소보다 증가한다. 소방청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2년 설 연휴 5일 동안 119에 접수된 응급상황 건수는 총 4만5946건이었다. 하루 평균 9189건으로 연휴가 아닌 평일 상담 건수 4695건의 약 2배에 달한다. 설 연휴 많이 발생하는 사고와 대처 방법을 살펴봤다.
화상·골절 사고 발생 시 주의할 점
|
명절에는 평소보다 많은 양의 음식을 조리하다가 기름이나 뜨거운 물 등에 화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화상 부위를 통증이 감소할 때까지 흐르는 찬물에 식혀야 한다. 빨리 식혀야 한다는 생각에 얼음을 직접 대는 것은 금물이다. 또 화상 부위를 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만약 표피가 벗겨지거나 물집이 생기고 진물이 나는 화상이라면 세균 감염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한다.
명절에 성묘나 가족들과 나들이하는 경우 빙판길에서 넘어지는 사고도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손목이나 발목, 허리 등 골절을 당하기도 한다. 119 신고를 하고 구급차를 기다리면서 골절 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골절 부위를 부목이나 나뭇가지 등 단단한 물체로 고정해 흔들리지 않게 하고 냉찜질을 해주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
명절 음식으로 배탈이나 기도가 막힌 경우
기름진 명절 음식을 평소보다 많이 먹다 보면 소화불량이나 배탈이 나는 경우도 있다. 과식 등으로 인해 복통과 구토, 설사할 경우 우선 금식을 하고 배를 따뜻하게 만들어줘야 한다. 설사를 한다면 변의 색 묽기 등을 잘피고 횟수가 5회 이상 지속되면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명절 음식을 먹다가 목에 걸려 기도가 막히는 사고도 종종 발생한다. 특히 평소에 자주 안 먹던 떡 같은 음식을 먹을 때 자주 일어난다.
기도가 막힌 경우 기침을 통해 음식물을 제거하거나 하임리히법으로 기도에 막혀 있는 음식물을 빼야 한다. 하임리히법은 복부를 강하게 압박하고 이 압력차를 이용해 기도 속 음식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등 뒤에 서서 한 손은 주먹을 쥐고 다른 한 손은 주먹 쥔 손을 감싼 뒤 환자의 명치와 배꼽 중간 지점에 대고 위로 밀쳐 올리는 방법이다.
설 연휴 운영하는 병원, 약국 찾기
|
정부는 이번 설 연휴에 지난해 설 및 추석보다 많은 일평균 1만 6815개소의 의료기관이 문을 열 예정이다. 설 당일(1월 29일)에는 2619개소의 의료기관이 문을 연다. 약국은 일 평균 9070개소, 설 당일 2696개소가 문을 연다.
응급의료포털(E-gen)을 이용하거나 보건복지부 콜센터 129, 시도 콜센터 120 전화를 통해 가까운 곳의 문 연 병·의원 및 약국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또 네이버지도, 카카오맵에서도 응급실과 명절 진료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