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경기 불황 장기화에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상가 경매시장도 직격탄을 맞았다. 서울 종로 한복판 상가도 무려 11번의 유찰 끝에 겨우 낙찰자를 찾는 등 침체된 분위기를 대변한다.
4일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서울 상가 낙찰률(경매 진행 건수 대비 낙찰 건수 비율)은 지난해 9월 20% 밑으로 떨어진 뒤 계속 10%대에 머물며 지난달 15.5%를 기록했다. 이는 상가 경매 20건 가운데 3건만 새 주인을 찾았다는 의미다.
서울 한복판 상가도 예의는 아니다. 종로구 인의동 소재 19층 규모의 한 주상복합상가는 2023년 12월부터 총 11회나 유찰된 끝에 지난달 감정가(3억원)의 10분의1 가격에 겨우 매각됐다.
지난달 서울 상가의 낙찰가율(감정가격 대비 낙찰가 비율)은 전월대비 3%포인트 감소한 68.1%로 나타났고 서울시내 상가 경매 평균 응찰자 수는 1.38명에 머물렀다.
경기·인천도 비슷한 상황이다. 지난달 경기 상가의 낙찰률은 14.8%로 집계돼 10건의 경매 물건 가운데 1.5건만 새 주인을 찾았다. 경기 상가 낙찰률은 4개월째 20% 미만을 기록했고 평균 응찰자 수는 2.27명에 그쳤다.
이 기간 경기 상가의 평균 낙찰가율은 전월(53%)대비 4.9%포인트 떨어진 48.1%로 감정가의 반값 수준에서 경매가 성사됐다. 이는 43.3%를 기록한 2023년 3월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밖에 인천의 상황도 심각하다. 인천 상가의 낙찰률과 낙찰가율은 각각 16.5%, 65.6%로 집계됐다. 인천에서는 낙찰률과 낙찰가율이 각각 6.4%포인트, 7.5%포인트씩 올랐지만 평균 응찰자는 경기와 비슷한 2.32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