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실용주의 노선'에 대해 "우리의 가치와 목표로 치환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김 지사는 5일 MBN 유튜브 '나는 정치인이다'에 출연해 "진보의 가치나 추구하는 철학을 실적으로 접근해 푸는 것은 필요하다"면서도 다만 "우리가 추구하는 가치와 철학의 정체성은 분명히 유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진보의 가치를 가장 실용적으로 실천에 옮긴 이는 김대중 대통령"이라며 "그러므로 민주당이 추구하는 진보 가치를 실용주의적 방법으로 푸는 것은 맞지만, 이것이 목표이자 가치가 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노 대통령이 '진보의 미래'라는 책에서 '정치인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정체성이라면서도 더 중요한 것은 신뢰'라고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두 대통령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는 민주당 입장에서 이런 사고와 가치, 그리고 이것을 실천에 옮기기 위한 보다 현실적이고 실용주의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금투세 완화. 고소득 연구개발자 주 52시간 완화 등 이 대표의 최근 '우클릭 행보'에 대해서도 견해를 밝혔다. 김 지사는 "최근 추경을 위해 '민생회복 지원금'을 포기하겠다는 (이 대표의)충정은 이해한다"면서도 "실용주의적 접근을 우리의 가치와 목표로 치환할 수는 없다"고 비판적인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민생회복지원금을 지급하자고 추경을 하자는 것인데 그걸 빼자고 하면 '그럼 무슨 추경이지"하는 질문을 받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지사는 "가장 먼저 추경을 대규모로 하자고 주장한 것이 본인"이라며 "이는 어려운 취약계층, 소상공인, 자영업자를 위한 추경이었고 또한, 민생회복지원금 지급하기 위해서였다"고 말했다.
또한, 이 대표의 친중·친북 성향에 대해서도 "중국. 일본 문제 어느 하나도 소흘히 할 수 없는 균형외교를 해야한다"면서 "어느 한쪽으로 너무 기울어져 다른 쪽을 제외하는 뺄셈 외교를 한다면 이는 정말 어리석은 일"이라며 부정적 견해를 밝혔다.
임종석 전 비서실장가 SNS에 올린 '지난 대선 때 진 것은 이재명 대표 개인 탓'이라는 글에 대해서는 "지난 대선에 진 이유를 찾자면 열 가지도 넘을 것"이라면서 "이재명 대표가 후보였기 때문에 후보에게도 책임이 없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대교체론을 주장한 이준석 의원의 대선 출마와 관련해서는 "굉장히 생산적이고 좋다"면서도. 다만 "세대교체라는게 나이만 가지고 볼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