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2025.02.05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
(워싱턴=뉴스1) 류정민 특파원 = 미국이 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첫 이란 제재를 실행했다.
미 재무부 해외자산관리국(OFAC)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수억 달러에 달하는 수백만 배럴 원유의 중국 수출을 용이하게 한 국제 네트워크를 제재한다"고 밝혔다.
재무부는 "이 원유는 이란군 총참모부(AFGS)와 제재 대상 회사인 세페르에너지(Sepehr Energy)를 대신해 운송됐다"며 "이 작업에는 중국, 인도, 아랍에미리트(UAE)를 포함한 여러 관할 구역의 단체와 개인, 그리고 여러 선박이 포함된다"고 밝혔다.
OFAC에 따르면 이란은 매년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석유 판매 수익을 통해 역내 불안정을 조장하는 하마스(팔레스타인), 후티(예멘), 헤즈볼라(레바논)를 포함한 여러 지역의 무장정파와 테러단체를 지원한다.
이란군 총참모부는 석유 판매와 선적에 해외에 기반을 둔 유령회사와 중개인 네트워크를 활용한다.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은 "이란 정권은 핵 프로그램 개발, 치명적인 탄도미사일과 무인항공기 생산, 지역 내 테러조직 지원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석유 수익을 활용하는 데 여전히 집중하고 있다"며 "미국은 이러한 악의적인 활동에 자금을 조달하려는 이란의 모든 시도를 적극적으로 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이란의 핵무기 개발을 저지하고 석유 수출을 제한하는 대통령 안보 각서에 서명한 바 있다.
재무부는 이번 조치가 이란 경제의 주요 부문에 대한 제재 조치를 확인하고 부과할 권한을 재무부 장관과 협의해 부여하는 행정명령에 따라 취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달 4일 대통령 각서를 통해 재무부와 기타 미국 정부 기관이 이란에 대한 경제적 압박을 극대화해 핵무기 개발의 모든 경로를 차단하고 이란의 악의적인 영향력에 대응하도록 지시한 것과 일치한다고 부연했다.
이번 제재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0일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후 실행한 첫 이란 제재이기도 하다.
미국의 제재 대상이 되면 미국 내 자산은 동결되며, 미국인과의 거래가 금지된다.
테미 브루스 미 국무부 대변인도 성명에서 "미국은 이란의 파괴적이고 불안정한 행동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문명 세계를 위협하는 이란 정권의 불안정한 활동과 핵무기 추구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