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국제공항 앞에 대규모 숲을 조성하려는 제주도의 계획을 두고 조류 충돌 사고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20일 뉴스1에 따르면 양경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제435회 도의회 임시회 환경도시위원회 제2차 회의에서 이 문제를 거론했다. 양 의원 등에 따르면 최근 도는 이음·재생·동행이라는 3대 핵심 전략을 중심으로 한 '제주숲 공간혁신 시즌2' 구상안을 수립했다. 도는 사업비 125억원을 들여 내년까지 공항로와 서부공원을 잇는 '제주맞이 숲'을 조성할 계획이다. 숲 면적은 축구장(7140㎡·국제 규격) 28개와 맞먹는 20㏊다.
양 의원은 숲이 제주국제공항 활주로로부터 약 1㎞ 거리에 조성된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양 의원은 "2019년부터 지난해 8월까지 제주공항에서는 총 81건의 조류 충돌이 발생했다. 연평균 20건꼴"이라며 "공항 이착륙 지점이나 활주로 인접 지점에 숲이 조성된다면 조류 충돌 사고 위험성이 더 높아지지 않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최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조류 충돌 사고에 대한 우려가 크고, 공항공사도 조류 서식 환경 관리에 여러 노력을 많이 기울이고 있는데 이 시기에 당장 이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느냐"고 따져 물었다.
이에 강애숙 도 기후환경국장은 "숲 조성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면서 "지난달 21일 공항 관계자, 조류 전문가와 함께 현장을 확인한 결과 숲 조성으로 조류 충돌 사고 위험성이 높아진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는 데 의견이 모였다"고 말했다. 이어 "물론 안전보다 우선인 것은 없다"면서 "국토교통부가 전국 공항을 대상으로 마련하고 있는 조류 충돌 관련 대책을 살피면서 전문가들과 충분히 검토한 뒤에 사업을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