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5일 밤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대통령 탄핵심판 최종(11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최종 진술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헌법재판소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밤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대통령 탄핵심판 최종(11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최종 진술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헌법재판소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잔여 임기에 연연하지 않겠다며 탄핵심판이 기각될 경우 직무에 복귀하면 개헌과 정치개혁의 추진에 임기 후반부를 집중하겠다고 주장했다.

25일 뉴시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날 밤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제11차 변론기일에서 최후 변론에 임했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직무에 복귀하게 된다면 먼저 '87체제'를 우리 몸에 맞추고 미래세대에게 제대로 된 나라를 물려주기 위한 개헌과 정치개혁의 추진에 임기 후반부를 집중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미 대통령직을 시작할 때부터 임기 중반 이후에는 개헌과 선거제 등 정치개혁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고 전제했다. 이어 "현직 대통령의 희생과 결단 없이 헌법 개정과 정치개혁을 할 수 없으니 내가 이를 해내자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개헌 추진을 통해 국민통합을 가져올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국민통합은 헌법과 헌법가치를 통해 이루어지는 만큼 개헌과 정치개혁이 올바르게 추진되면 그 과정에서 갈라지고 분열된 국민들이 통합될 것이라고 믿는다"며 "그렇게 되면 현행 헌법상 잔여 임기에 연연해 할 이유가 없고 오히려 제게는 크나큰 영광"이라고 주장했다.

북한을 비롯한 외부 주권 침탈 세력과 우리 사회 내부 반국가세력이 연계해 국가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는 주장도 했다. 민주노총 간첩단 사건을 언급하며 "북한의 지령에 따라 총파업을 하고 미국 바이든 대통령 방한 반대, 한미 연합훈련 반대, 이태원 참사 반정부 시위 등 활동을 펼쳤다"며 "심지어 북한의 지시에 따라 선거에 개입한 정황도 드러났다"고 언급했다.


거대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을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거대 야당은 제가 취임하기도 전부터 대통령 선제 탄핵을 주장했고, 줄 탄핵 입법 폭주 예산 폭거로 정부의 기능을 마비시켜 왔다"며 "거대 야당은 이러한 폭주까지도 국회의 정당한 권한 행사라고 강변한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변론 시작 7시간이 지난 밤 9시5분 자신의 최후 변론에 맞춰 대심판정에 등장했다. 앞서 열린 국회 측과 자신의 대리인단이 최후 변론에는 자리하지 않은 채 최후 변론을 위해서만 출석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