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로템이 민·관 협력 노력 끝에 모로코 시장 첫 진출에 성공했다.
26일 현대로템에 따르면 전날(현지시각) 모로코 철도청으로부터 약 2조2027억원 규모의 2층 전동차 공급 사업을 수주했다.
전동차 유지보수는 모로코 철도청과의 별도 협상을 거쳐 현대로템 및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공동 수행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으로 모로코 시장에 첫 진출한 현대로템은 철도 단일 프로젝트 기준 최대 수주 기록을 경신하는 성과도 거뒀다.
기존 대규모 수주는 현재 납품 중인 호주 NIF 2층 전동차 약 1조4000억원, 지난해 수주한 호주 퀸즐랜드 전동차 공급 사업 약 1조3000억원 및 2028년 미국 LA(로스앤젤레스) 하계올림픽 시 승객 수송에 투입될 LA 메트로 전동차 약 9000억원이다.
모로코 시장 진출 성공에는 현대로템을 비롯한 민·관 합동 '코리아 원팀'(Korea One Team)의 활약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지난해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과 백원국 국토부 제2차관이 현지를 방문해 모로코 교통물류부 장관 및 철도청장을 면담했고 국가철도공단과 코레일 관계자들도 현지에 K-철도의 경쟁력을 알리는데 힘썼다.
코레일은 유지보수 핵심 기술 확보를 원하는 모로코 철도청의 수요에 부응해 관련 기술이전, 교육훈련 등 전방위적 협력을 제안함으로써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코레일은 고속차량, 전동차, 화차 등 다양한 철도차량을 운영하며 축적한 독자적인 유지보수 역량과 전문성을 보유했다.
당초 이번 입찰은 유럽 경쟁국의 양허성 금융 제안으로 인해 코리아 원팀의 사업 확보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정부는 EDCF(대외경제협력기금) 지원으로 수주 경쟁력을 강화해 치열한 국가대항 수주전 속에서도 K-철도의 민·관 협력 수출 성과를 달성했다.
모로코 2층 전동차는 160㎞/h급으로 현지 최대 도시인 카사블랑카를 중심으로 주요 지역들을 연결하게 된다. 2030년 월드컵 개최를 앞둔 모로코 현지 대중교통 강화에 일조할 전망이다. 차량 일부가 현지에서 생산돼 모로코 철도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차량을 구성하는 전체 부품들 중 약 90%를 200여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이 공급해 상생 협력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사업 확보로 K-철도의 아프리카 시장 공략 확대에도 힘이 붙게 됐다. 모로코 시장 진출을 통해 관련 실적과 경험을 쌓고 수주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전망이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이번 수주는 민관이 합심한 코리아 원팀의 성과이자 글로벌 시장에서 K-철도의 경쟁력이 인정받은 사례"라며 "현지 시민들은 물론 2030년 월드컵 100주년 대회의 방문객들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고품질의 전동차를 공급할 것"이라고 자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