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가 12·3 비상계엄 당일 밤 명망 있는 여권 인사로부터 자신에 대한 체포조 투입 사실을 미리 들었다고 고백했다.
한 전 대표는 26일 출간된 자신의 저서 '국민이 먼저입니다. 한동훈의 선택'을 통해 지난해 12월3일 계엄 저지 메시지를 낸 직후 평소 알고 지내던 명망 있는 여권 인사로부터 전화 한 통을 받았다고 밝혔다.
저서에 따르면 당시 여권 인사는 한 전 대표에게 "다른 사람은 몰라도 한 대표는 절대로 체포되면 안 된다. 체포되면 정말 죽을 수 있다. 그러니 국회로 가지 말고 즉시 은신처를 정해서 숨어라. 추적되지 않도록 휴대폰도 꺼놔라. 가족들도 피신시켜라. 신뢰할 만한 정보이니 허투루 듣지 말고 꼭 그렇게 하시라"고 조언했다.
계엄 선포 직후인 만큼 한 전 대표는 여권 인사가 실없는 소리를 하진 않았을 것으로 판단했다. 그는 "나를 해치고 싶었다면 차라리 누군가를 사주하지 비상계엄까지 선포해서 할까 싶기도 했다"고 회상했다. 이어 "대통령이 여당 대표를 죽이려 한다는 말은 황당하고 허황된 이야기지만 2024년에 계엄령을 내리는 건 안 황당한가 싶었다"며 "유튜버 김어준씨가 계엄령이 내려졌을 때 나에 대한 사살 계획이 있었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주장했는데 그 뉴스를 보고 12월3일 밤에 들었던 경고와 같은 얘긴가 싶었다"고 털어놨다.
계엄 다음 날 이뤄진 윤석열 대통령과 독대에 대해서도 기술했다. 한 전 대표는 대통령이 먼저 '국회 해산'을 언급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통령 자신이 국회를 해산할 수도 있었는데 하지 않았다고 말한 대목이 특이했다"며 "참석자 중 누가 국회 해산에 대해 먼저 말한 것도 아니었다. 헌법에는 1987년 개헌 이후로 대통령의 국회 해산권이 없다. 나는 그 말이 무슨 뜻인지 이해할 수 없었지만 더 이상 묻지는 않았다"고 회상했다.
한 전 대표는 당시 윤 대통령이 민주당의 탄핵 남발·폭거 등 상황 전체를 계엄령을 발동할 수 있는 '전시 또는 사변에 준하는 상황으로 봤다'는 주장을 강조했으며 부정 선거 의혹 문제는 언급하지 않았다고 밝히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