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강득구 의원(가운데 왼쪽)과 영풍제련소주변환경오염및주민건강공동대책위원회 등이 '영풍석포제련소 조업정지 집행에 따른 기자회견'에 참석했다. /사진=최유빈 기자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강득구 의원(가운데 왼쪽)과 영풍제련소주변환경오염및주민건강공동대책위원회 등이 '영풍석포제련소 조업정지 집행에 따른 기자회견'에 참석했다. /사진=최유빈 기자

영풍 석포제련소가 임시 조업정지에 돌입한 가운데 시민단체가 영구 폐쇄를 촉구했다. 시민단체는 불법과 범죄행위를 일삼아 온 영풍이 석포제련소의 환경 파괴를 방관하고 있다며 정부와 정치권의 책임있는 행동을 요구했다.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영풍석포제련소 조업정지 집행에 따른 기자회견'이 진행됐다. 행사엔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안양 만안)과 영풍제련소 주변 환경오염 및 주민건강공동대책위원회, 환경운동연합, 환경보건시민센터 관계자가 참석했다.


강 의원은 석포제련소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영구 폐쇄를 강조했다. 그는 "계속되는 환경 오염, 반복되는 산업재해로 인해 죽음의 제련소라고 불리는 영풍 석포제련소가 또다시 환경법을 위반해 조업 정지에 들어갔다"며 "석포제련소는 지난 10여 년 동안 120여 건의 환경법령 위반 사항이 적발됐고 90차례가 넘는 행정처분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폐수를 무단으로 방출하는 등의 불법 조업을 이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미흡한 영풍 경영진의 환경 투자 개선 의지도 문제 삼았다. 그는 "석포제련소는 올해까지 100여 개의 환경 개선을 약속했지만 그 이행은 여전히 묘연해 보인다"며 "2024년도 환경부 국감에서 영풍그룹 장형진 고문을 상대로 증인 신문을 했으나 실질 오너인 장형진 고문은 책임 있는 답변이 아닌 문제를 피하기에 급급했다"고 말했다.

이어 "석포제련소는 낙동강 최상류에 위치해 낙동강의 핵심 오염원이라는 지적받고 있다"며 "낙동강을 식수원으로 살아가는 영남 주민들과 그리고 제련소를 삶의 터전으로 살아온 노동자들을 위해 국회와 정부, 지방자치단체가 지혜를 모아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미진한 환경 투자를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은 잇따랐다. 회견문을 낭독한 김범석 안동환경운동연합 대표는 "석포제련소는 1970년 제1 공장을 시작으로 낙동강 최상류에서 공장 가동을 시작한 이래 수없이 많은 불법과 범죄 행위를 저지르며 불을 축적해 왔다"며 "2014년 이후 환경법 위반과 범죄 행위 사례가 80건이나 되며 법 위반을 상습적으로 저질러 온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악질 범죄 기업"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런 행태는) 오로지 경제 성장만이 최고의 가치로 여겨지던 시기에 석포제련소가 탄생하게 된 것과 인근 연합 광산에서 채굴된 광산 찌꺼기와 제련 과정에서 발생한 중금속 슬러지가 공장 건축에 사용되었던 것에서 기인한 것"이라며 "환경부 고위 관료 출신들을 사외이사 및 임원으로 기용해 관리 부처의 감독을 무력화시킬 수 있었기에 법 위반과 범죄 행위가 일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석포제련소에서 발생한 사상 사고에 대한 지적도 있었다. 안숙희 환경운동연합생태보전팀 활동가는 "1970년 공장이 가동된 이래 21명의 노동자가 사망했다는 '중대재해처벌법' 위반으로 재판을 받는 박영민 대표이사의 증언에 따르면 영풍석포제련소는 환경법 위반뿐 아니라 생계를 위해 취업한 노동자들의 죽음터가 되고 있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며 "반세기가 지나는 동안 온갖 불법과 범죄행위로 기업을 운영해 온 영풍 석포제련소는 더 이상 세계 경제 10위권 대한민국에서 온전한 기업으로서의 자격을 상실했다"고 했다.

끝으로 "정부와 국회는 더 이상 영풍 석포제련소가 불법 범죄기업으로, 노동자들의 죽음터로서의 악순환을 되풀이하지 못하도록 특단의 조치를 강구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