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범식 LG유플러스 사장이 삼성전자 부스를 찾아 최초의 안드로이드 XR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을 자세히 살펴봤다.
홍범식 사장은 4일(현지시각) 세계 최대 이동통신 박람회 'MWC2025'가 열리고 있는 스페인 바르셀로나 피라 그란비아 전시장 삼성전자 부스에서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과 만났다.
부스에 들어선 후 홍 사장은 우선 삼성전자 '갤럭시 S25 시리즈'의 AI 기능을 둘러봤다.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해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 '제미나이 라이브(Gemini Live)' ▲일상 속 맞춤형 정보를 브리핑해 주는 '나우 브리프(Now Brief)' ▲관심사 및 사용 맥락에 따라 추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나우 바(Now Bar)' 등 기능을 살펴본 그는 사용자 편의성이 제고됐다고 호평했다.
가장 관심을 보인 것은 XR 기기 무한이었다. 가까이 다가가 자세히 관찰하던 홍 사장은 "무게는 어떻게 되냐"며 노 사장에게 물었다. 노태문 사장은 "정확한 무게보다는 착용했을 때 무게의 배분이 중요하다"며 즉답을 피했다. "이마 쪽으로 무게 중심을 분산해 실제 무게보다 훨씬 더 착용감이 좋다"고 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MWC2025 자사 부스에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을 처음으로 갖춘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의 시제품을 전시했다. 무한은 구글과 손잡고 제작 중이며 연내 출시가 목표다. 퀄컴은 기기의 두뇌와 같은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를 만든다. 멀티모달 AI와 첨단 XR 기술을 결합한 무한은 사용자의 상황을 이해해 편의성을 제고할 것으로 보인다.
홍 사장은 과거와 달리 착용시 불편함이 줄었는지 질문했다. 노 사장은 "디스플레이와 센서가 인식하는 시간 차 때문에 어지러움이 발생하는데 무한은 디스플레이 질이 좋아지고 센서 정확도가 높아졌다"고 말했다. 이어 "멀티모달 인공지능(AI)을 적용해서 사람이 직접 눈으로 보듯 외부 카메라가 인식, 장면에 적합한 보이스로 조절해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프로젝트 무한은 통신칩이 내장이 돼 있지 않아 스마트폰과의 테더링 방식으로 구동된다. 무한의 관건은 협력사들과의 애플리케이션(앱) 협업으로 작년 하반기부터 서드파티 앱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전날 삼성전자 부스를 찾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와 김영섭 KT 대표 역시 무한을 유심히 지켜봤다. XR 기기와 통신칩이 결합할 경우 사업상 유리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홍 사장은 "'무한'이라는 이름도 너무 좋다"며 "잠재력을 보여주는 것 같다"고 덕담을 건넸다.
노/맞습니다.
스마트싱스를 기반으로 한 헬스케어 솔루션까지 참관한 홍 사장은 향후 자사 AI 익시오와의 협업 가능성을 언급하며 KT 부스로 발걸음을 옮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