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전국에서 2만7418가구가 분양에 나서는 가운데 지방 분양시장 전망은 여전히 어둡다. 사진은 지난 10일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뉴시스
이달 전국에서 2만7418가구가 분양에 나서는 가운데 지방 분양시장 전망은 여전히 어둡다. 사진은 지난 10일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뉴시스

이달 지방에서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많은 아파트가 분양된다. 그러나 미분양 주택이 증가하면서 계절적 성수기인 3월에도 지방 분양 시장은 침체가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11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달 전국에서 2만7418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수도권 1만2417가구, 지방 1만5001가구로 지방 분양 예정 물량은 전년 동월(7135가구) 대비 두 배가량 많다. 지역별로는 ▲부산(3766가구) ▲충남(3001가구) ▲경남(2638가구) 순으로 분양 물량이 많다.


봄 이사철인 이달부터 본격적인 분양 성수기에 접어들지만 지방 분양시장 전망은 여전히 어둡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에 따르면 3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2.5포인트 하락한 72.9로 나타났다. 지방은 전월 대비 2.3포인트 하락한 72.8을 기록했다.

분양시장 전망이 악화된 것은 미분양 리스크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주산연 관계자는 "전국의 악성 미분양 물량이 1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고 이 중 80%가 비수도권에 집중되는 등 부정적인 시장 환경이 분양 전망에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 주택통계에 따르면 1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전월 대비 2451가구(3.5%) 증가한 7만2624가구로 집계됐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전월 대비 1392가구(6.5%) 증가한 2만2872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2013년 11월(2만2227가구) 이후 11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앞으로 미분양 주택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달 미분양 물량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0.8포인트 상승한 114.3으로 나타났다. 미분양 물량 전망지수는 ▲1월 102.8 ▲2월 113.5 ▲3월 114.3 등으로 상승세다.

김지연 부동산R114 책임연구원은 "무순위 청약에 수만명이 몰리는 수도권과 달리 지방 분양시장은 할인분양 등의 자구책에도 지역 내 쌓여 있는 미분양 해소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시장 불안 가능성이 여전한 만큼 물량이 집중되는 부산·경남·충남 등지까지 청약 온기가 기대만큼 확산되지 않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