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밸류업 정책으로 기업들의 주주 환원이 확대되고 있다. 다만 여전히 한국 기업의 주주 환원율은 주요20개국(G20)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1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주주환원 정책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최근 기업 밸류업 방안으로 배당 및 자사주 매입 확대에 따른 주주환원과 기업가치 제고로 이어질지에 대한 실증 분석을 담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배당성향은 당기순이익의 27.2%로 분석 대상인 16개국 중 최하위였다. 한은은 G20 국가 중 국영기업 위주인 중국과, 자료가 부족한 호주·사우디아라비아 등을 제외하고 16개국 3560개 기업을 대상으로 이번 분석을 진행했다.
한국 기업의 배당금과 자사주 매입액을 더한 주주환원 규모는 영업현금흐름의 0.2배에 그쳤다. 신흥국인 튀르키예와 아르헨티나(0.1배)에 이어 뒤에서 세번째 수준을 나타냈다. 주주이익을 보호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주주보호 점수는 6.8점으로 12위에 그쳤다.
|
한국 기업의 기업가치는 평균 이하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대비 시가총액(PBR)은 1.4배로 나타났다. 고성장국가인 인도(5.5배)는 물론 미국(4.2배), 영국(3.3배)보다 낮았다. 자본대체 비용 대비 시장가치를 나타내는 '토빈의큐'는 2.1배로 나타났다. 순위는 PBR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저조한 주주환원에도 현금성 자산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주주 이익 보호 수준이 미흡한 경우 주주환원이 적으면 현금 자산이 많아지고, 경영인이 사적으로 유용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하지만 한국은 영업현금 흐름 대비 자본적 지출 비중이 0.9배로 인도에 이어 비교 대상국 중 두번째로 높았다. 현금 자산비중은 0.08배로 하위권이었다. 한국 기업들이 주주에게 돌아가지 않은 이익을 사내에 유보하기보다는 기업 발전을 위한 투자로 활용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
한은은 한국 기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선 주주환원 정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한은의 분석 결과 주주 환원 규모가 커질수록 기업 가치(토빈의 큐 기준)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주 이익 보호 지표가 양호할수록 기업 가치가 높았다.
다만 이 같은 주주환원 확대가 모든 산업에서 효과적인 것은 아닌 것으로 분석됐다. 일부 고성장 산업에서는 주주환원을 늘리더라도 기업가치가 높아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정보기술(IT) 업종은 주주환원보다도 대규모 자본적 지출이 기업가치 증가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주주 환원보다 투자가 더 중요한 업종도 있다는 얘기다.
김선임 한은 차장은 "이런 분석은 주주 이익 보호가 취약한 한국에선 주주환원 확대가 기업가치 제고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면서도 "고성장 산업의 경우 자본적지출이 중요한 요소인만큼 밸류업 지수를 구성할 때 주주환원 외에 자본 투자 계획에 대해서도 평가해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