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구 절벽시대에 출생아수가 증가하고 있는 전남 보성군의 인구정책이 눈길을 끈다.
1966년 18만 명에 달했던 보성군의 인구는 지난해 말 기준 3만7000 명으로 크게 감소했지만 최근 출산율 반등과 청년 정착 지원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18일 보성군에 따르면 군은 2023년 1월 조직개편을 통해 인구정책과를 신설하고 전략적인 인구정책을 펼쳐 인구 감소율 둔화와 출산율 상승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 인구감소율 2→1.7%↓ ..출생아 1인당 최대 1억 1000만원 지원
보성군은 출산 장려 정책과 청년 정착 프로그램의 효과로 인구감소율을 2%대에서 1.7%로 낮추는데 성공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보성군은 출산율 증가를 위해 출산장려금 지원을 대폭 확대하고 실질적인 양육 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군은 △첫째아 600만원△둘째아 720만원△셋째아 1080만원을 지급하고 있으며 2025년부터 1세~18세까지 매월 20만원씩 지급하는 '출생기본수당'을 도입해 부모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있다.
또한 부모 급여, 아동수당, 산후 조리비, 난임부부 지원 등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 출생아 1인당 최대 1억1000만원의 지원이 가능하도록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지원책이 효과를 거두면서 보성군의 출생아 수는 2022년 81명에서 2023년 103명, 2024년 117명으로 2년 연속 증가했다. 합계출산율도 2022년 0.79명에서 2024년 1.20명으로 상승해 전남 22개 시군 중 19위에서 8위까지 올라섰다.
◇'만원주택' 청년마을 조성사업 등 청년 유입 및 정착 지원
보성군은 청년층 유입을 위한 다양한 맞춤형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실질적인 주거 안정을 위해 신혼부부를 위한 이사비용을 지원하고 있으며 벌교읍에 '전남형 만원 주택'을 도입해 청년들의 주거 부담을 낮추는 정책을 시행할 계획이다.
또한 청년들이 직접 기획하고 운영하는 '청년마을 조성사업'을 2023년부터 추진하고 있으며 청년 정착과 지역 활성화를 동시에 도모하고 있다.
일자리 분야에서는 디지털 혁신 및 탄소중립 일자리 프로젝트를 통해 미래 산업에 대응하는 청년 일자리 창출에 나서고 있으며 이를 통해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과 지역 산업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문화·교육 분야에서도 청년 네트워크 조성과 청년 문화축제 개최를 통해 지역 내 청년들의 소통과 교류를 활성화하고 온라인 화상 영어 교육을 통해 글로벌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 결과 문덕면은 3년 연속 인구 증가를 기록하며 지방 소멸 위기 극복의 성공 사례로 자리 잡았다.
김철우 보성군수는 "출산 장려뿐만 아니라 청년과 가족이 안정적으로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보성군이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성공모델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정책을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