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건설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혁신의 과제로 '건설산업 재탄생(Rebirth)' 전략을 18일 발표했다. 사진은 환영사하는 이충재 원장. /사진=장동규 기자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건설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혁신의 과제로 '건설산업 재탄생(Rebirth)' 전략을 18일 발표했다. 사진은 환영사하는 이충재 원장. /사진=장동규 기자

이충재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 원장은 "건설산업이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 가기 위해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대전환을 통한 산업의 재탄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정과 협력을 중심으로 한 건설 문화 정착도 강조했다.

이충재 원장은 18일 오후 2시 서울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5 건설산업 혁신을 위한 재탄생 세미나' 환영사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건산연은 이날 세미나에서 건설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혁신의 과제로 '건설산업 재탄생(Rebirth)' 전략을 발표했다. 건설산업 재탄생을 위한 3대 대전환으로 '산업 중점가치, 산업 체계, 시장·상품'의 전략 과제를 제안했다.
한승구 대한건설협회 회장과 이충재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원장 등 참석자들이 18일 오후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5 건설산업 혁신을 위한 재탄생 세미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장동규 기자
한승구 대한건설협회 회장과 이충재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원장 등 참석자들이 18일 오후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5 건설산업 혁신을 위한 재탄생 세미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장동규 기자

이 원장은 "산업 중점가치 대전환을 위해 건설산업의 모든 주체가 '갑'의 위치가 아닌 책임을 다하는 역할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건설 시장·상품 대전환을 통해 미래 사회 변화에 선제 대응하고 국민의 삶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첨단 기술을 활용한 양질의 도시·인프라·건축물 공급과 금융 고도화를 통한 사업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건설산업 재탄생 전략을 성공시키기 위해 정부와 발주자, 시공·설계·감리·자재·금융 등 이해관계자의 공감대 형성과 역할 수행이 필수"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