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연구원이 2030년까지 훼손된 자연환경 30% 이상 복원을 위안 방안으로 도시생태 현황과 탄소 흡수원을 담은 지도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25일 경기도가 발간한 보고서 '자연환경복원 추진방안 연구'에 따르면 지난 40년간(1980년대~2010년대) 경기도 시가지 면적은 798.4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산림지역과 농업지역은 각각 327.15㎢, 515.49㎢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생태적 가치가 높은 지역의 자연환경을 복원을 위해 2025년 구축 예정인 경기도 광역 도시생태현황지도와 탄소흡수원 지도 활용을 주요 방안으로 내놓았다. 또한, 보호지역과 자연환경 복원사업의 확대, 데이터 기반 훼손지 관리도 제시했다.
기후위기 대응과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한 자연환경 복원 중요성을 강조한 보고서에는 토지피복지도와 항공사진 등 과거 공간정보를 활용해 경기도 전역에서 자연환경이 훼손된 945개 지점을 분석한 내용을 담았다.
연천군이 116곳으로 자연환경 훼손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양평군 99곳, 파주시 97곳, 가평군 85곳, 포천시 84곳 순이었다. 반면, 구리·군포시(1곳), 안양시 2곳, 수원·오산·과천시(3곳)는 상대적으로 훼손지가 적었다.
이 중 복원사업 우선순위가 높은 지역으로 개발제한구역 내 79곳, 정맥 인근(300m 이내) 30곳, 보호지역 내 227곳을 도출했다. 하지만, 단순히 인공위성이나 항공사진 등을 활용해 지표면의 상태를 표현한 토지피복 변화만으로는 훼손지의 생태적 가치와 훼손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생물종 서식지 유형별로 구분된 도시생태현황지도를 활용해 종합적인 생태적 중요도를 평가한 후 우선 복원 대상지를 선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현장조사, 항공영상 기반 도시생태현황지도는 환경현황을 공간화(도면화)한 정보를 담아 자연환경 복원계획 수립에 필수이기 때문이다.
김동우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국제적 목표인 2030년까지 훼손된 자연환경의 30% 이상 복원을 달성하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지속가능한 정책을 개발하고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