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대 학생회가 학교 측이 제시한 복귀 데드라인인 27일 모든 의대생 등록을 결정하며 등록 후 투쟁 방침을 밝혔다. 사진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앞을 지나가는 의료진의 모습. /사진=뉴스1
서울대 의대 학생회가 학교 측이 제시한 복귀 데드라인인 27일 모든 의대생 등록을 결정하며 등록 후 투쟁 방침을 밝혔다. 사진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앞을 지나가는 의료진의 모습. /사진=뉴스1

서울대 의대 학생회가 복귀 데드라인인 27일 모든 의대생의 등록을 결정했다. 전날부터 진행된 투쟁 방식과 관련한 투표 결과에 따른 것이다.

27일 서울의대 의정 갈등 대응 TF는 전날 밤 10시부터 이날 오전 8시까지 투쟁 방식과 관련한 투표를 진행했다. 투표 결과 응답자 607명 중 등록에 찬성하는 비율은 65.7%(399명)로 집계됐다. 휴학을 계속하겠다는 응답은 34.3%(208명)에 그쳤다.


TF는 "투표 결과 미등록 휴학으로 투쟁을 이어 나가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등록 후 투쟁의 방식을 채택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27일 오후 2시까지 복학원 제출 및 수강 신청을 통해 등록 절차를 마무리해 주시기를 바란다"면서 "등록 후 투쟁 방향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이른 시일 내에 안내하겠다"고 공지했다.

앞서 서울대는 '복학 등록 학생 수업 안내'를 통해 27일을 학생 복귀 마감 시한으로 정하고 오는 31일부터 학사 일정은 진행하되 첫 1~2주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한다는 방침을 공개한 바 있다.

서울대 교수회 또한 임정묵 회장 명의로 보내는 의대생에게 보내는 서한을 통해 "복귀 문제는 우리 의료의 미래와 직결된 중요한 사안이 됐다"며 "하루빨리 교정에서 다시 만나길 진심으로 바란다"고 강조했다. 서울대 의대 학장단도 "27일 이후에는 모든 결정이 비가역적으로 의대 학장단의 통제를 벗어나며, 이는 '학생 보호'라는 의대의 원칙, 의지와 전혀 다른 심각한 상황을 맞이할 수 있다"고 당부했다.


정부가 이달 말까지를 의대생 복귀 데드라인으로 정하고 지난 21일 등록을 마감한 연세대와 고려대가 미등록자 제적 방침을 밝히자 의대생들의 투쟁 방향에 변화가 일고 있다. 주요 의대 학생회가 복학을 결정함에 따라 이달 안으로 상당수의 의대생이 학교로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