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국내 임금근로자 평균 대출잔액이 515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 ATM 기기 모습. /사진=뉴스1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국내 임금근로자 평균 대출잔액이 515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 ATM 기기 모습. /사진=뉴스1

한국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잔액(은행, 비은행권 합산)이 2023년 기준 5150만원으로 집계됐다. 40대가 7700만원 수준으로 가장 많았다. 중소기업 근로자 연체율은 대기업 근로자보다 약 3배 높았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23년 임금근로자 부채' 자료에 따르면 같은해 12월 말 기준 전국 임금근로자 평균 대출잔액은 5150만원으로 전년 대비 0.7%(35만원) 늘었다.


임금근로자 대출잔액은 통계가 집계된 2017년 이후 매년 증가했다. 2022년에는 부채 관리를 위한 금융당국의 규제 강화 등 영향으로 전년 대비 1.7% 감소했으나 1년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다.

대출 유형은주택담보대출이 2023년 말 2038만원으로 전년 대비 3.7% 증가했다. 주택 외 담보대출은 1754만원으로 2.1% 늘었다. 신용대출(1157만원)은 5.4% 감소했다.

연령대별 평균 대출잔액은 40대가 779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6979만원) ▲50대(5993만원) ▲60대(3745만원) ▲70세 이상(1853만원) ▲29세 이하(1601만원) 순이었다.


대출잔액 기준 평균 연체율은 0.51%로 전년 대비 0.08%포인트 올랐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0.86%로 가장 높았다. ▲50대(0.66%) ▲70세 이상(0.65%) ▲29세 이하(0.49%) ▲40대(0.46%) ▲30대(0.31%) 순이다.

2023년 말 임금근로자의 평균 연체율(대출잔액 기준)은 0.51%로 전년보다 0.08%포인트 상승했다. 2021년 0.41%던 연체율은 2022년(0.43%)에 이어 2023년까지 2년 연속 상승세가 이어졌다.

대기업 근로자 평균 대출잔액은 7782만원으로 중소기업(4299만원)보다 1.8배 많았다. 다만 연체율은 중소기업 근로자가 0.82%로 대기업(0.29%)보다 2.8배 높았다.

통계청 측은 "금리가 상승하며 신용대출은 감소했으나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출시 등의 영향으로 주택담보대출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