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얀마 강진 피해가 확산하는 가운데 미 지질조사국(USGS)은 사망자가 1만명이 넘을 것으로 추정했다.
뉴욕타임스(NYT)는 28일(현지시간) 미얀마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1만명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고 USGS가 추정했다고 보도했다.
미얀마 군사정부가 발표한 예비 집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세 도시에서 최소 144명이 사망하고 732명이 부상했다. 이 수치에는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발생한 사상자는 포함되지 않았다.
USGS는 이번 지진의 규모를 7.7로 측정했다. 진앙은 인구 150만명의 도시 만달레이 중심에서 불과 16km 떨어진 지점으로 충격은 방글라데시, 베트남, 태국까지 퍼졌다.
진앙에서 약 1000km 떨어진 태국 수도 방콕에서는 33층 건물이 붕괴돼 최소 8명이 숨지고 수십 명이 실종됐다. 당시 건물 내부에는 320명의 건설 노동자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파에통탄 시나와트라 태국 총리는 방콕을 '긴급 재난 지역'으로 선포하고 주민들에게 여진에 대비해 고층 건물에서 대피할 것을 촉구했다.
중국 언론도 미얀마 국경 인근 루이리 지역에서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진앙에서 약 110km 떨어진 핀다야의 한 불교 사원에서는 100년 전 세워진 황금 돔 '스투파'의 첨탑을 포함한 여러 불탑이 무너졌다. 진앙에서 약 240km 떨어진 군사정부 수도 네피도 역시 큰 피해를 입었다. 미얀마 군사정부는 만달레이와 네피도를 포함한 6개 지역에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사회에 지원을 요청했다.
하지만 정전과 통신 두절로 인해 현지 구호 단체들은 피해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군사정부가 반대 의견을 차단하기 위해 인터넷을 차단하고 소셜미디어 접근을 막으면서 국제사회의 지원 전달에도 큰 장애가 될 수 있다.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마이클 마틴 연구원은 "군부가 구호물자 전달을 고의로 지연시키거나 구호 인력의 비자를 거부하거나 통제 지역에만 지원을 집중시켜 반군 지역은 소외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 트럼프 정부가 대외 원조 예산을 대폭 삭감해온 점을 감안할 때, 미국이 실질적으로 어느 정도 지원할 수 있을지도 불확실하다고 덧붙였다.
현재 미얀마 군사정부를 이끄는 민 아웅 흘라잉 상급 장군은 국제형사재판소(ICC)로부터 반인도적 범죄 혐의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