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픈AI의 챗GPT가 주간 이용자 수(WAU) 5억명을 돌파했다. 지난해 말 3억5000만명에서 약 30% 급증한 수치다. 유료 구독자도 2000만명을 넘어서며 4개월 만에 450만명 가까이 증가했다.
1일(현지 시간) IT(정보기술)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챗GPT는 지난 분기 말 기준 WAU 5억명, 유료 구독자 수 2000만명을 기록했다. 이용자 급증 배경에는 최근 공개된 최신 이미지 생성 기능이 자리 잡고 있다.
오픈AI는 기존 이미지 생성형 AI '달리'(DALL-E) 외에 지난달 25일부터 챗GPT에 네이티브 이미지 생성 기능을 탑재했다. 이 기능은 유료뿐 아니라 무료 사용자에게도 제한적으로 제공된다.
오픈AI 측은 "이제 상상 속 이미지를 더 쉽게 구현할 수 있어 시각적 소통력이 향상됐다"며 "텍스트 해석과 구현 능력 모두 크게 개선됐다"고 강조했다. 기존 달리가 처리하지 못했던 세밀한 묘사도 가능해졌다는 설명이다.
특히 이용자들의 관심을 모은 건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 스타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능이다. 커뮤니티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할리우드 배우 ▲스포츠 스타 등이 지브리와 심슨, 사우스파크 등의 애니메이션 캐릭터로 재해석된 이미지가 잇따라 공유되며 열풍이 확산됐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도 자신의 얼굴을 지브리풍으로 그린 이미지를 엑스(X) 프로필 사진으로 등록하며 '지브리 밈'에 가세했다. 그는 지난달 31일 "시간당 신규 이용자가 100만명에 달했다"고 전하며 AI 이미지 기능의 파급력을 강조했다.
한국 내 반응도 뜨겁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챗GPT의 국내 일일 이용자 수(DAU)는 125만2925명으로 역대 최다치를 기록했다. DAU는 이달 초까지만 해도 80만명 선에 머물렀지만 이미지 기능이 추가된 이후 한 달 새 50% 이상 급증했다. 지난달 10일 100만명을 처음 돌파한 지 불과 2주 만에 새 기록을 세운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