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기정 광주시장은 3일 제주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7주년 4·3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희생자 유족을 위로하고 헌화·분향했다.
강 시장은 "광주와 제주는 국가폭력에 의해 희생된 아픈 역사를 공유하고 있으며 한강 작가가 5·18과 4·3을 다시 잇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4·3의 정명(正名)과 철저한 진상규명을 통해 더 단단한 민주주의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5·18은 민주주의를 사랑하는 많은 이들의 연대로 인권과 평화의 상징이 됐다"며 "이제 광주가 그 고마움을 돌려줄 차례이며 그 방식은 4·3과의 평화연대를 통해 구체화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참혹한 아픔인 4·3을 딛고 제주공동체를 이뤄낸 유족들의 노력에 깊은 존경을 표한다"며 "77년이 지나도 4·3은 여전히 이름이 없고 생존희생자 등의 아픔은 계속되고 있다며 진상규명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등을 통해 4·3의 정명(正名)을 확립하는 데 광주가 함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추념식에 앞서 강 시장은 4·3희생자인 고 양천종 씨의 딸 양두영 어르신 등 생존 희생자들을 만나 위로했다. 고 양천종 씨는 광주형무소 옛터에서 75년 만에 유해가 발굴돼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광주와 제주는 지난해부터 5·18민주화운동 기념식과 4·3희생자 추념식에 시장과 대표단이 교차 참석하며 평화 연대를 강화해왔다. 지난해 강 시장은 오영훈 제주지사와 '상생발전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4·3과 5·18의 평화·인권 교류, 국립트라우마센터 운영 내실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한강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와 '작별하지 않는다'의 배경 사적지 상호 교류 홍보 △국립트라우마치유센터 전액 국비 운영 등 국가 차원의 지원과 책임 강화를 위한 공동 대응 △5·18과 4·3의 왜곡·폄훼 공동 대응 △5·18 기념식 초청 등 교류 활성화 방안이 논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