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4일 헌법재판소의 전원일치 결정으로 파면되자 국민의힘은 충격과 침통함에 휩싸인 분위기 속에서 공식 입장을 내고 국민 앞에 사과했다. 사진은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를 비롯한 의원들이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한 모습. /사진=뉴스1
윤석열 전 대통령이 4일 헌법재판소의 전원일치 결정으로 파면되자 국민의힘은 충격과 침통함에 휩싸인 분위기 속에서 공식 입장을 내고 국민 앞에 사과했다. 사진은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를 비롯한 의원들이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한 모습. /사진=뉴스1

윤석열 전 대통령이 4일 헌법재판소의 전원일치 결정으로 파면되자 국민의힘은 충격과 침통함에 휩싸인 분위기 속에서 공식 입장을 내고 국민 앞에 사과했다. 당 지도부는 헌재 결정을 존중한다며 대국민 사과와 함께 정치적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개별 의원들 사이에선 탄핵소추 당시 입장에 따라 온도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헌재 선고가 방송으로 생중계되는 장면을 지켜본 뒤 기자들과 만나 "안타깝지만 헌재의 결정을 무겁게 받아들이며 겸허히 수용한다"고 밝혔다. "헌재 결정을 존중하는 것이야말로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지키는 길임을 믿는다"며 고개를 숙였다.


권 위원장은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여당으로서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한 데 대해 깊은 책임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이 장악한 국회에서 반복된 입법 독주와 정치적 폭주를 효과적으로 막아내지 못한 점 역시 반성한다"고 덧붙였다.

권성동 원내대표도 의원총회 발언을 통해 "국민 여러분께 대단히 송구하다"며 "마음은 아프지만 헌재의 결정을 존중하는 것이 책임 있는 정치의 자세"라고 말했다. 특히 60일 이내 치러질 조기 대선과 관련해 "절대로 물러설 수 없고 져서는 안 될 선거"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피와 땀으로 일궈낸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재명 대표와 민주당에 맡길 수 없다"며 "우리부터 하나로 뭉쳐야 승리가 가능하다. 통합과 안정, 헌정질서를 바라는 국민들과 힘을 합쳐 반드시 정권을 재창출하겠다"고 강조했다.


반면 개별 의원들 사이에선 탄핵소추 당시 입장에 따라 온도차가 뚜렷했다. 탄핵에 찬성표를 던졌던 조경태 의원은 자신의 SNS를 통해 "헌재가 대한민국 정상화를 위한 출발점을 열었다"며 "국민들과 함께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송석준 의원은 "이제는 국민통합의 시간"이라며 "비상계엄과 탄핵을 둘러싸고 갈라진 민심을 어루만지고 하나 된 대한민국을 위해 나아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반면 친윤계 의원들은 헌재 결정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철규 의원은 "유구무언이다. 국민께 송구할 따름"이라면서도 "오늘의 결과가 대한민국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걱정된다"고 밝혔다.

강민국 의원은 헌법재판소 문형배 소장의 선고문 낭독을 두고 "민주당 대변인의 논평을 듣는 줄 알았다"며 "편향된 지식인은 이 사회에 흉기가 될 수 있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한편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헌재 선고 직후 비상 의원총회를 소집해 정국 수습 방안과 조기 대선 대응 전략 수립에 착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