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6일 경북 의성에서 산불 진화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가 숨졌다. 하지만 이후 11일 만인 지난 6일 대구에서도 비슷한 사고가 발생해 사망자가 나오자 노후 헬기 및 인력 관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산불 진화에는 산림청과 소방청 소속 헬기와 지자체가 민간업체에서 빌린 헬기 등이 투입된다. 산림청이 보유한 헬기는 50대로 이 중 20년 넘은 헬기가 34대다. 전체의 68%다. 전국의 민간업체가 소유하고 있는 헬기는 144대로 평균 기령은 30년 정도다.
지난달 26일 의성 산불 진화 중 헬기 1대가 추락해 조종사 A씨(74)가 사망한 사건에서 사고 헬기는 1995년도 산으로 30년 된 기종이다. 지난 6일 대구에서 산불 진화 중 추락해 조종사 B씨(73)가 숨진 사고 헬기는 1981년 제작돼 44년이 지났다. 노후 기종이란 원인으로 이번 사고가 발생했다고 볼 수는 없지만 그만큼 정비에 세심한 부분까지 신경 쓰고 정비 주기도 단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근영 한국교통대 항공운항과 교수는 뉴스1과의 인터뷰에서 "지자체 임차 헬기는 예산이 한정돼 있다 보니 저가 입찰로 진행된다"며 "임차업체는 오래된 헬기와 나이가 많은 조종사를 고용하는 게 운영에 이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20년 이상 된 항공기의 정비 기간을 단축할 필요도 있다"며 "헬기 기령이 오래됐다 하더라도 무조건 안전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정비 주기를 현재보다 더 단축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항공 안전법 시행 규칙에 따르면 20년 이상 운항한 항공기는 20년 미만과 비교해 각종 안전 점검을 강화해야 한다.
산불을 최전선에서 막아낼 헬기는 노후화 정도가 갈수록 심각해져 부품 수급 문제 등으로 산림청과 지자체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산림청 헬기 50대 중 러시아 카모프사에서 제작한 기종은 29대로 가장 많다. 이 기종은 노후화로 정비를 자주 해야 하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부품 수급 문제로 현재 29대 중 8대는 운항을 못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전문가들은 조종사에 대한 나이 제한도 필요하다고 했다. 이근영 교수는 "임차 헬기는 항공기 사용 사업으로 분류돼 있어 나이 등 규정이 느슨한 편"이라며 "조종사 나이를 규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