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직원 2호 'AI 대변인'./사진=광주시
AI직원 2호 'AI 대변인'./사진=광주시

광주광역시가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행정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8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해 'AI 당지기' 도입에 이어 보도자료 초안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AI 대변인'을 도입했다.


'AI 대변인'은 챗GPT 기술을 바탕으로 광주시 보도자료 서식과 작성 기준, 표현 가이드를 반영해 핵심 정보 입력만으로 초안을 생성하는 생성형 AI 챗봇이다.

데이터정보화담당관 부서 공무원이 별도 예산 없이 자체 개발했으며 맞춤법 자동 교정 기능도 탑재돼 보도자료의 완성도를 높인다.

특히 상황별 보도자료 서식을 구비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직원들의 업무 효율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AI 대변인'은 기존 인공지능 기술이 단순 상담이나 민원 안내에 국한되던 것과 달리 단순한 문서 자동화 수준에서 벗어나 보도자료 작성 업무에 인공지능을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시는 지난해 8월 도입한 'AI 당지기'를 통해 당직 민원의 84%를 처리하는 성과를 거둔 바 있으며 이번 'AI 대변인' 도입을 통해 AI 행정의 영역을 더욱 확장하고 있다.

이병철 기획조정실장은 "앞으로도 행정 혁신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 활용을 지속 확대할 방침이며 적극적으로 AI 기술을 행정 전반에 도입해 시민 중심의 시민을 위한 AX 행정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