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자국 내 기업 피해를 완화하기 위해 수출업자에 대한 세액공제 신설을 검토하고 있다. 사진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를 만난 모습. /사진=로이터
미국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자국 내 기업 피해를 완화하기 위해 수출업자에 대한 세액공제 신설을 검토하고 있다. 사진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를 만난 모습. /사진=로이터

미국 정부가 관세 정책에 따른 자국 내 기업 피해를 완화하기 위해 수출업자에 대한 세액공제 신설을 검토 중이다.

지난 7일(이하 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 행정부 내에선 해당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아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나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에게 공식 정책 보고가 이뤄지지는 않았다. 세액공제가 도입될 경우 올해 말부터 효력이 발휘될 예정이다. 공제안 신설을 위해서는 의회 동의가 필요하다.


한 소식통은 "무역국들의 보복 관세로 인한 미국 수출 제조업체들의 피해를 일부 보전하기 위한 조치"라며 "서비스 수출업체들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세금 면제안 도입 여부가 아직 불확실하다고 밝혔다.

이에 블룸버그는 실제 도입 여부와 관계없이 해당 방안이 논의되는 것은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도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부터 모든 무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최저 10%의 기본관세를 발효했다. 9일부터는 기본관세보다 높은 국가별 상호관세가 발효된다. 이에 중국은 미국의 상호관세율 발표 뒤 34%의 보복 관세를 발효했고 유럽연합(EU)은 철강·알루미늄 보복 관세안을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