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가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총 81조원 규모의 '광주형 공약'을 제안했다.
인공지능(AI) 모델시티, 미래모빌리티 신도시, 분산에너지 허브, 아시아문화중심도시 2.0시대 등 15대 과제와 40개 사업으로 구성됐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8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대선을 통해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AI·문화·지속가능의 3대 성장전략으로 광주가 대한민국 성장판을 다시 열겠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AI 주도 성장을 위해 '더 브레인 광주' 조성을 목표로 초거대 AI 컴퓨팅 인프라, AI 데이터 뱅크, 글로벌 AX 실증밸리, AI 반도체 클러스터, 양자·휴머노이드 산업 기반 등을 구축에 나선다.
빛그린산단 등 300만 평 일원에 자율주행과 UAM이 일상화된 신기술 시범 도시를 조성한다. AI-모빌리티 융합 샌드박스, 광주-영광 산업선 철도, 자율주행 시험장, RE100 스마트 산단 등이 포함된다.
분산에너지 허브조성을 위해 전남 발전단지와 연계한 광역 MVDC 전력망 구축, 통합발전소(VPP), 배터리 특화단지 등을 통해 넷제로 분산에너지 생태계를 마련한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청 신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강화, AI 융합 콘텐츠·문화기술(CT) 연구센터, 국립문화시설(현대미술관, 역사박물관 등), K-콘텐츠 테크타운, 5·18 민주공원 조성 등도 적극 추진에 나선다.
도시철도 광천상무선, 광주송정역 환승센터, 동광주~광산IC 확장, 영산강·광주천 생태복원, 대학연합 MECA 인재양성, 창업실증지구 등 교통·환경·청년지원 인프라를 강화한다.
초광역·국가과제로는 전남과 협력해 서남권 민군 통합공항(9조원), 달빛철도(7조원), 서남권 메가시티 고속도로, 바이오헬스 클러스터, 문화관광벨트 등을 추진한다.
시는 국가과제로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갈등관리 통합원 설치 △군사시설 이전 전담기구 설치 △내륙도시 에너지전환 기반 구축 △국가 통합돌봄 플랫폼과 표준모델 정립 △3대 메가경제권·5대 메가시티 조성과 제2차 공공기관 이전 등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