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이 주관하고 GC녹십자가 협력해 개발된 '재조합 단백질 탄저백신'(배리스트락주)이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허가를 받았다. 사진은 GC녹십자 본사. /사진=GC녹십자
질병관리청이 주관하고 GC녹십자가 협력해 개발된 '재조합 단백질 탄저백신'(배리스트락주)이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허가를 받았다. 사진은 GC녹십자 본사. /사진=GC녹십자

생물테러 등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국내 기술로 개발된 세계 최초 '재조합 단백질 탄저백신'(배리트락스주)이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식약처는 GC녹십자가 신청한 유전자 재조합 탄저백신 배리스트락주를 허가했다고 8일 밝혔다. 베리트락스주는 탄저균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하는 항체의 생성을 유도하기 위해 탄저균의 외독소 구성성분 중 방어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해 제조한 백신이다. 성인에서 탄저균으로 인한 감염증의 노출 전 예방을 목적으로 한다


해당 백신은 질병관리청(질병청)이 주관하고 GC녹십자가 협력해 개발됐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한 탄저백신을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세계 최초 사례다.

질병청은 1997년부터 탄저백신 후보물질 발굴을 시작으로 백신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를 수행했다. GC녹십자와 백신 공정개발 및 임상시험 등을 수행해 2023년 10월 의약품 품목허가를 신청했다.

국내 개발 탄저백신이 허가를 취득하면서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탄저백신을 국내 자급 백신으로 대체할 수 있게 됐다. 백신 수입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것이란 게 질병청 설명이다. 생물테러 등 유사시 충분한 물량을 즉각 생산 및 확보할 수 있어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통해 국가 백신주권 확립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생물테러 감염병 대응을 위해 국내 자체 개발 백신 보유는 생물테러 대비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탄저백신 국산화를 통해 생물테러 등 국가 공중보건 위기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