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의사협회는 내년도 의과대학 정원 증원 '0명' 확정 발표에 따라 의사 인력 절벽 문제가 현실화됐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의사를 지역과 1차 의료에 투입해야 한다고 정부와 대통령 후보자들에게 촉구했다. 사진은 윤성찬 대한한의사협회장. /사진=뉴스1
대한한의사협회는 내년도 의과대학 정원 증원 '0명' 확정 발표에 따라 의사 인력 절벽 문제가 현실화됐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의사를 지역과 1차 의료에 투입해야 한다고 정부와 대통령 후보자들에게 촉구했다. 사진은 윤성찬 대한한의사협회장. /사진=뉴스1

대한한의사협회(한의협)는 내년도 의과대학 정원 증원 동결로 발생한 의사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의사를 지역사회와 1차 의료에 투입해야 한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한의협은 18일 입장문을 내고 "대한민국을 큰 혼란에 빠뜨렸던 의대 증원 방침은 불과 1년 만에 없던 일이 돼버렸으며, 양의사 수급난으로 1차 의료와 필수 의료가 위기에 빠지고 국가 보건 의료체계에 크나큰 공백이 우려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의사 인력절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어촌 한의과 공보의 역할 확대 ▲한의사 지역 필수공공의료 한정 의사제도 도입 ▲돌봄·주치의 제도 한의사 적극 활용 ▲한의사 예방접종 시행을 촉구했다.

한의협은 "올해 선발된 의과 공보의는 250명으로 필요 적정인원인 705명의 35%에 불과하다"며 "의과 공보의 부족으로 농어촌 의료취약지역의 1차 의료 공백이 커지고 의료체계가 무너지는 것은 시간문제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무의촌에 한의과 공보의를 투입해 활용하는 '1차 의료전담제도'를 도입하고, 한의사 공보의도 1차 의료에 필요한 경미한 의료행위를 할 수 있도록 농어촌의료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지역사회와 취약계층의 의료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돌봄 한의사(주치의) 제도를 제안했다. 장애인, 만성질환, 치매·어르신 들이 상시 건강 돌봄을 받을 수 있어 재난적 의료비 지출을 방지해 국가재정 절약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의사를 활용한 지역 필수 공공의료 한정 의사제도의 도입도 주장했다. 한의사가 2년의 추가 교육을 받고 국가시험에 을 합격한 후 필수 의료 분야의 전문의 과정을 밟는 제도를 마련해 한의사가 지역의 공공 필수 의료분야에 종사하도록 하는 방안이 골자다. 또한 한의사도 예방접종을 시행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해 취약 지역의 의료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는 설명도 포함했다.

한의협은 "하루빨리 한의계의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제안을 실현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며 "대선 정국에서 여야 각 당 대통령 후보자들 캠프에서도 의사 인력절벽 문제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