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나선 홍준표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와 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의 공약 방향성이 갈리고 있다. 사진은 선진대국 시대 비전 공약을 발표하는 홍 후보(왼쪽)의 모습과 여성정책 간담회에 참여한 한 후보(오른쪽)의 모습. /사진=김서연 기자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나선 한동훈과 홍준표 두 후보가 제시한 정책 비전이 명확한 방향 차를 드러내고 있다. 한동훈이 성장 중심의 구조 설계를 지향한다면 홍준표는 낡은 질서의 구조 해체를 내세운다. 보수진영이라는 공통점을 제외하면 지향점과 접근법, 정책 수단 모두에서 정반대 방향의 공약을 제시하고 있다.

22일 한 후보는 '5대 메가폴리스 건설' 공약 발표를 통해 '3(세계 3대 AI 강국 도약)·4(국민소득 4만달러 달성)·7(중산층 비율 70% 확대) 비전'을 구체화했다. 지방분권이나 행정통합을 넘어 산업·연구·교육·정주가 통합된 첨단 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정책 모델이다. '좋은 정부'를 내세우는 한 후보의 '설계형' 정치의 일관된 확장선이기도 하다.


이번 5대 메가폴리스 공약으로 기존의 기술·복지·행정 설계에 더해국토 자체의 구조를 재편하는 물리적 설계가 결합된 셈이다. 한 후보는 그동안 '좋은 정부 설계'를 기조로 기능별 정책을 구조화하고 확장하는 공약을 추구했으며 ▲AI 인프라 150조 투자 ▲미래전략부 신설 ▲한평생 복지계좌 도입 ▲사회보장부 신설 등이 이에 해당된다.

반면 홍준표 후보는 '선진대국 시대 비전'을 통해 기득권 구조 해체와 제도 전면 개편을 핵심으로 내세우고 있다. '100+1 국가대개혁 비전'을 통해 ▲공무원 정원 감축 ▲지방의회 폐지 ▲사형제 부활 ▲간첩죄 구성요건 확대 ▲수능 정시 100% 전환 ▲모병제 확대 등 행정·사법·교육·안보 전반의 구조 재편안을 강조했다.

복지 부문에서도 ▲노인 반값 병원 제도 도입 ▲노인 공공일자리 200만 개 확대 ▲아동수당 지급 확대 등 기존 복지 제도의 방식 자체를 손보는 방향으로 제시했다. 단편적인 지원보다 복지 전달 체계와 기존의 일방적 수혜 구조 자체를 바꾸겠다는 입장이다.


경선이 본격화될수록 두 후보의 차이는 정책 구성을 넘어 보수 유권자들의 지향점에 대한 본질적 선택지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 지지층을 구축하는 방식 역시 각 후보 별로 다를 것으로 예상돼 향후 경선 구도를 관통하는 핵심 갈등축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해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