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테마주 과열 양상이 지속되자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가 '투자유의 안내'를 발동했다. 사진은 한국거래소 서울사무소 홍보관에 표시된 시장 지수./사진=뉴시스


23일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가 '투자유의 안내'를 발동했다. 6월3일 대선이 다가오면서 정치 테마주 과열 양상이 지속됐기 때문.

지난해 12월부터 이달 18일까지 투자경고 이상으로 지정된 정치 테마주만 60종목이다. 전체 115종목 중 52%다. 특히 이달 지정 37종목 중에서는 정치 테마주가 29종목으로 78%였다. 같은 기간 현저한 시황변동에 따른 조회공시를 의뢰한 62종목에서도 56%(34종목)가 정치 테마주였다.


지난해 12월 이후 정치 테마주 주가 변동률은 121.81%로 시장 평균 대비 약 6배 수준이었다. 정치 테마주 기업들은 자산규모와 매출액 규모가 시장 평균보다 작은 중·소형주 위주였다. 영업실적도 시장 평균에 비해 현저히 낮은 종목이 상당수였다.

정치 테마주 평균 매출액은 코스피 3317억원, 코스닥 590억원 수준이다. 각각 시장 평균 2조2290억원과 1214억원을 크게 밑돈다.

코스피에서 테마주 평균 영업익은 36억원(시장 평균 1506억원)·당기순손실은 10억원(시장 평균 당기순이익 1454억원)이었다. 코스닥에서 테마주 평균 영업익은 5억원(시장 평균 51억원)·당기순손실은 5억원(시장 평균 당기순이익 16억원) 수준이었다.


정치 테마주는 출신학교·친인척·지인·지역 등 정치인과의 단순 연결고리만으로 주가가 급등한다. 기업 실적이나 본질가치와 대부분 무관하다. 정치뉴스·여론조사 결과·테마소멸 등에 따라 주가가 일시에 급락할 수 있어 과열 분위기가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거래소는 확인되지 않은 풍문이나 막연한 기대감 등으로 주가와 거래가 요동치는 종목에는 추종매매를 자제하고 기업 실적, 재무상태와 시장환경 등 펀더멘탈에 기반한 합리적 투자결정을 요청했다.

거래소 시감위는 "21대 대선기간 정치테마주에 대한 모니터링 및 시장조치를 적극 실시하고 불공정거래 행위 포착시 금융당국과 공조해 강력 대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리딩방, 증권게시판, 대량 SMS 등 테마주 관련 불공정거래가 의심되는 행위를 알게 되면 거래소 불공정거래신고센터에 적극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