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융당국이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 경영진이 지난해 말 기업 회생 절차를 논의한 내부 이메일을 확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실 등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최근 검찰에 긴급조치(패스트트랙)로 이첩한 MBK와 홈플러스 경영진은 김병주 MBK 회장과 김광일 MBK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 등 8명이다.
금융당국은 이들에게 사전에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하고 기업회생 신청을 계획하면서도 이를 숨기고 단기체권(ABSTB 등)을 발행한 부정거래 혐의를 적용했다.
금감원은 조사 과정에서 이들이 홈플러스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사전에 인지하고 회생절차 신청을 계획한 정황이 담긴 내부 자료도 입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안 브리핑에서 "홈플러스 측은 언론을 통해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알지 못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론 이를 인지하고 상당 기간 기업 회생 절차를 준비한 정황이 포착됐다"며 "구체적인 증거를 검찰에 이첩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사모펀드라고 해서 경영 정상화 책임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특혜처럼 보일 수 있다"며 "대주주로서 MBK는 실질적이고 진정성 있는 책임 있는 조치를 내놓아야 한다"고 밝혔다.
MBK는 혐의를 부인했다. MBK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홈플러스의 지난 2월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예견하지 못했으며 회생절차 또한 미리 준비하지 않았다"며 "홈플러스와 MBK는 2월25일 ABSTB의 발행, 판매 및 재판매의 거래당사자가 아니며 해당 거래에 관여한 바가 없다"고 했다.
검찰은 이날 서울 종로구 MBK 본사 등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MBK가 지난해 고려아연과의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부정거래를 했는지 들여다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