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 하남시 감일동에 위치한 동서울변전소의 증설 문제를 두고 하남시와 한국전력공사가 수개월째 갈등을 빚고 있다. 한전은 수도권 전력 안정화를 위한 핵심 인프라로서 변전소 증설이 시급하다는 입장이지만 하남시는 시민 안전과 도시 미관 훼손 등의 이유로 증설허가를 보류하고 있다.
25일 전력업계에 따르면 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과 이현재 하남시장이 지난 24일 동서울 변전소 옥내화·증설 사업 지연 사태의 해법을 마련하기 위해 전격 회동했지만 서로 입장차이만 확인하는 데 그쳤다. 하남시청에서 비공개로 지자체장과 기관장의 짧은 면담에 이어 실무진 간 토론까지 이어졌지만 뚜렷한 결론은 나오지 않았다.
동서울변전소 옥내화와 증설 사업은 한전이 약 7000억원을 들여 2026년 6월까지 기존의 변전 시설을 옥내화해 확보한 여유 부지에 HVDC 변환소를 건설하는 것으로 전력망 확충과 수도권 전력 안정화를 위한 국가 핵심 사업이다.
시는 전자파, 소음, 도시 미관 훼손 등의 이유로 한전의 동서울변전소 증설을 불허해 왔다.
그러나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를 통해 들어올 추가 전기가 수도권 일대에 공급되기 위해서는 동서울변전소 증설이 필수적이라는 게 한전 측 설명이다.
동서울변전소 증설이 이뤄지지 않으면 원전을 비롯한 동해안 일대 발전소에서 만든 전기를 수도권으로 나르기 위한 국책 사업인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가 제 기능을 할 수 없다는 게 한전의 입장이다.
이에 시는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주거 밀집지역에 기존 용량 대비 최대 3.5배까지 확대되는 대규모 시설에 대해 시민 의견 수렴을 지속적으로 요청해 왔다"며 "한국전력은 이 증설 규모를 1.8배로 밝히고 있으나 감일신도시 주민들은 변압기 설비 증설에 따른 안정상 문제와 함께 전자파를 걱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시는 그동안 한국전력 측에 주민 수용성 확보를 수차례 요구했으며 한전 역시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하고 주민 의견을 반영하겠다고 밝힌 바 있지만 동서울변전소 이슈가 불거진 지난해 7월 이후 지금까지 주민 불안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해 12월 행정심판 인용 결정에 따라 시는 법과 규정에 맞는 행정절차를 차질 없이 진행하고 있다"며 "그럼에도 한전 측은 시가 재량권을 남용한 무책임하고 비상식적인 행정기관이라고 비판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가정책이 진정한 공공성을 갖기 위해선 그 정당성만큼이나 시민과의 신뢰와 공감이 전제돼야 한다"며 "한전 측은 시민 불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시민을 설득하고 이해를 먼저 구해 달라"고 덧붙였다.
시는 앞으로도 주민 의견을 최우선으로 반영하며 한국전력과의 협의를 지속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