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레이스가 이재명 후보의 '압도적' 승리로 막을 내렸다. 김동연·김경수 후보는 비교적 큰 차이로 2, 3위를 기록했으나 민주당 '잠룡'임을 부각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민주당은 지난 27일 경기 고양킨텍스에서 열린 수도권(서울·경기·인천) 및 강원·제주지역 합동 순회경선을 실시했다. 이날까지 집계된 이 후보 누적 득표율은 89.77%로 김동연(6.87%), 김경수(3.36%)를 누르고 제21대 대선 민주당 후보로 확정됐다.
'어대명' 분위기 속에서 양김 후보는 상호 비방이 아닌 본인의 색깔을 드러내는 데 집중했다.
김동연 후보는 권력기관·공직사회·정치권에 이르는 '기득권 공화국' 해체를 주장했다. 또 로펌에서 공직으로의 임용을 금지하는 '한덕수 방지법'과 부장급 이상 판·검사가 퇴직 후 3년 동안 출마를 제한하는 '윤석열 방지법'을 주장했다.
김경수 후보는 ▲전 국민 중위소득 40% 최저소득 보장 ▲돌봄 보험 통합 및 '돌봄 매니저' 배치 ▲대학 서열화 완화 등을 제안했다. 징병·모병 혼용제 개편안 및 평화협력부 설치를 내놓기도 했다.
![]() |
이들 후보는 '원팀'을 강조하며 '포스트 이재명'을 모색하는 서사의 초석을 마련했다.
김동연 후보는 이날 정견발표에서 "민주당의 이재명, 민주당의 김경수, 민주당의 김동연이다. 모든 국민의 민주당이 되자"고 말했다. 김경수 후보 역시 "품격있는 경선을 함께 만들어낸 우리는 모두 한 팀"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두 후보는 이번 지역순회 경선 당시에도 여러 차례 본인의 승리가 아닌 민주당의 압도적 우세를 강조한 바 있다.
정치권에서는 두 후보가 이번 경선을 통해 당내 유력 대권 잠룡임을 부각하는 계기가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분열이 아닌 화합으로 경선을 이끌며 당내 지지층 확장 가능성을 열어둬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다만 두 후보 합산 득표율이 10% 정도에 그친 건 아쉬운 부분이다.
이 후보는 같은날 수락 연설을 통해 "김동연·김경수 후보 모두 고생하셨다. 두 분은 민주당의 귀한 자산"이라며 "이제부터 김동연의 비전이 이재명의 비전이고 김경수의 꿈이 이재명의 꿈"이라고 치켜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