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패션 브랜드 사칭 사이트로 유인해 상품을 결제하게 한 후 물품을 발송하지 않아 사기를 당한 피해자가 늘고 있다. 사진은 스투시 사칭 사기 사이트 화면. /사진 제공=서울시

SNS 광고를 통해 유명 패션 브랜드 사칭 사이트로 유인한 후 상품을 결제하게 한 뒤 물품을 발송하지 않고 사이트 운영을 중단하는 이용자 피해가 급증했다.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지난 4월까지 7개월간 유명 패션 브랜드 사칭 사기 사이트 피해상담 건수는 150건, 피해 금액은 1,907만원에 달한다. 지난해 5월에서 9월 사이 유명브랜드 사칭 사기 사이트 관련 피해 접수는 월평균 3.2건에 불과했으나, 사이버먼데이·블랙프라이데이 등 유명 브랜드 및 쇼핑몰의 할인 행사가 집중된 연말부터 급격히 증가했다. 최근에도 피해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특히 유명 패션 브랜드 사칭 사기 사이트는 인스타그램·페이스북 등 SNS 광고를 통해 연결되며 해당 브랜드의 공식 홈페이지와 외관이 유사하다 보니 소비자들이 이를 믿고 구매했다가 피해를 본 경우가 많다. 유명 패션 브랜드 외에도 스토케, 자라홈 등 유명 생활용품 브랜드를 사칭한 사기 사이트 피해도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서울시는 사기 사이트는 일반적인 도메인 확장자인 '***.COM'이 아닌 '***.TOP' '***.SHOP' '***.LIVE' '***.VIP' 등 신규 도메인 확장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며 SNS 광고로 연결된 온라인쇼핑몰은 도메인 주소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하지만 이런 사칭 사기 사이트의 경우 대부분 해외서버를 통해 운영되고 있어 피해 발생 시 즉각적인 사이트 접속차단 등 조치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시는 사기 사이트로 의심되면 상품 페이지와 주문·결제 명세 등의 화면을 캡처해 보관하고 결제일로부터 2주 이내에 상품이 배송되지 않으면 신용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해당 해외 결제 건에 대한 이의제기 신청과 관련 증빙자료를 서면으로 제출할 경우, 조정절차를 거쳐 결제 취소 및 환급 등의 피해 구제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사한 피해 또는 유명 패션브랜드 사칭 관련 피해를 본 시민은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에 상담 신청하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