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미국 자본의 중국 첨단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 제한 행정명령을 지난 9일(현지시각) 발표했다. 사진은 반도체를 배경으로 한 미국 성조기(왼쪽)와 중국 오성기. /사진=로이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미국 자본의 중국 첨단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 제한 행정명령을 지난 9일(현지시각) 발표했다. 사진은 반도체를 배경으로 한 미국 성조기(왼쪽)와 중국 오성기. /사진=로이터

미국 자본의 중국 첨단 기술 분야 투자가 전면 통제된다.

지난 9일(현지시각) 로이터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날 사모펀드 등 미국 자본이 중국의 반도체 및 마이크로 전자제품, 양자 정보 기술, 특정 인공지능(AI) 시스템 등 3개 분야에 대해 투자하는 것을 규제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이들 3개 분야에서 대중 투자를 진행하고자 하는 기업은 투자 계획을 미국 정부에 사전 신고해야 한다. 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권은 미국 재무부 장관이 갖는다.


구체적으로 바이든 행정부는 인수합병과 사모펀드, 벤처 캐피탈 등을 통한 미국 기업의 중국 그린필드 투자와 합작 투자 등을 제한한다. 그린필드 투자는 현지법인 설립 후 공장을 운영하는 시스템이다.

중국은 즉각 반발했다. 주미 중국 대사관은 이날 대변인 명의의 공식 성명을 통해 "이번 미국 정부의 대중 규제는 중국과 미국의 기업, 투자자의 이익을 심각하게 훼손할 것"이라며 "중국은 상황을 면밀히 파악해 권익을 확고히 보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조치는) 대단히 실망스럽다"고 강조했다.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 영문판 글로벌타임스도 이날 사설을 통해 바이든 행정부를 비판했다. 매체는 "미국의 대중 견제는 자주적 혁신을 가속화하고 외부 세계에 대한 높은 수준의 개방을 촉진하려는 우리의 결의를 강화할 뿐"이라며 "투자 제한이라는 도구를 사용해 중국의 첨단 기술 개발을 중단하려는 미국에 대해 '오만하다'는 평가를 할 수밖에 없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