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위기 상황을 맞닥뜨린 중국 정부가 사상 최고치로 치솟고 있는 청년실업률의 공식 통계 발표를 중단했다. 7월 주요 경제지표는 시장 예상치를 밑돌며 경제 위기의 신호를 확인시켰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5일 산업생산과 소매판매 등 7월 경제지표를 발표하면서 매달 발표해온 청년실업률 통계를 제외했다. 국가통계국은 매달 전국 도시실업률과 16∼24세, 25∼59세 연령대별 실업률을 공개해 왔다.
국가통계국은 8월부터 청년실업률 등 연령대별 실업률 조사 발표를 중단한다고 밝히면서 경제·사회 발전으로 노동 통계를 좀 더 최적화해야 할 필요이 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최근 몇 년 동안 도시 청년 중 재학생 규모가 늘고 있고, 졸업 전에 일자리를 찾는 학생이 통계에 포함돼야 하는지에 대해 다른 견해가 있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사회 변화에 따른 통계 기준의 조정이 필요하다는 게 중국 당국의 판단이지만, 일각에선 청년실업률이 사상 최고치로 치솟아 이를 미공개하려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의 16∼24세 청년실업률은 지난 3월 19.6%를 기록한 이후 4월부터 3개월 연속 20%대를 넘어섰다.
마지막으로 발표된 6월 청년실업률은 전월(20.8%) 대비 0.5%포인트 높아진 21.3%를 나타냈다. 청년 5명 중 1명 이상이 실업 상태에 있다는 의미다. 중국의 전문가들은 구직 포기자 등을 포함한 실질 실업률은 46.5%에 이른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졸업 시즌인 7∼8월에는 사상 최대 규모인 1158만명의 대학 졸업자가 구직 시장에 쏟아져 나와 청년실업률을 더욱 높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블룸버그는 "코로나19 영향과 부동산 둔화로 중국 청년실업률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경제 회복 둔화에 고용주들이 고용을 꺼리면서 중국 경제에 더욱 부담이 가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