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금리 지속에도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며 주택 거래가 1년새 1.5배 가까이 증가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전·월세 거래는 줄어든 가운데 전세 거래의 감소폭이 월세 거래 대비 커 전세사기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됐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6일 '8월 주택 통계'를 발표, 8월 주택 매매거래량은 총 5만1578건(신고일 기준)을 기록했고 전월 대비 7.1.%, 전년 동월 대비 45.2%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8월의 전·월세 거래량은 21만7254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4.5% 감소했다. 올들어 8월까지 전·월세 거래량은 188만2478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 감소했다.
전세 거래량은 9만7957건으로 전월 대비 3.4% 증가한 반면 전년 동월 대비 9.1% 감소했다. 월세 거래량(보증부·준전세 등 포함)은 11만9297건으로 전월 대비 9.6% 증가했고 전년 동월 대비 0.4% 감소했다. 1년새 전세 감소폭이 월세의 22배에 달했다.
주택 미분양 수는 8월 말 기준 총 6만1811가구로 집계돼 전월(6만3087가구) 대비 2.0% 감소했다. 준공 후 미분양은 9392가구로 전월(9041가구) 대비 3.9%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미분양은 7676가구로 전월(8834가구) 대비 13.1% 감소했다. 지방은 5만4135가구로 전월(5만4253가구) 대비 0.2% 줄어 수도권 대비 감소폭이 작았다. 면적별로 85㎡ 초과 미분양은 7970가구를 기록해 전월(7851가구) 대비 1.5% 증가했고 85㎡ 이하는 5만3841가구로 전월(5만5236가구) 대비 2.5% 감소했다.
올들어 8월까지 주택 인·허가는 21만2757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38.8% 감소했다. 같은 기간 착공도 11만3892가구로 56.4% 급감했다. 분양 승인은 9만4449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42.3% 감소했다. 준공은 23만9059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7.6% 줄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주택의 전년 동기 대비 인·허가 감소율은 36.9%, 39.9%로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아파트와 비아파트 격차는 심화됐다. 아파트 인·허가 수는 8월 누계 기준 18만207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36.3% 감소했고 비아파트는 3만2550가구로 같은 기간 49.7% 감소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분양 격차도 컸다. 8월 누계 기준 수도권 공동주택은 5만2126가구 분양돼 전년 동기 대비 28.7% 감소했고 지방은 4만2323가구로 같은 기간 53.3% 급감했다. 8월 누계 기준 공동주택 일반분양은 6만8020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48.3% 감소했다. 임대주택은 5827가구로 같은 기간 52.0% 줄었지만 조합원분은 2만602가구로 2.9% 증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