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파주시에서 전두환 전 대통령 유해 안장 반대 단체행동이 일어나고 있다. 사진은 지난 2021년 11월23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전두환 전 대통령 빈소. /사진=머니투데이
경기 파주시에서 전두환 전 대통령 유해 안장 반대 단체행동이 일어나고 있다. 사진은 지난 2021년 11월23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전두환 전 대통령 빈소. /사진=머니투데이

신군부 군사 반란을 배경으로 한 영화 '서울의 봄'이 흥행하며 경기 파주시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두환 전 대통령 유해 안장 반대 단체행동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0일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진보당 파주 지역위원회·민족문제연구소 고양 파주지부·파주노동 희망센터·DMZ 생태평화학교 등 11개 시민사회단체는 이날 파주시청 앞에서 '전두환 파주 문산읍 장산리 매장 반대' 기자회견을 진행한다. 유족들은 전 전 대통령의 유해가 파주시에 안장될 수도 있다는 보도들이 나오자 이를 반대하기 위해 단체 행동에 나서는 것으로 보인다.


이 단체들은 "파주 문산읍 장산리는 임진강과 북녘땅 개성이 내려다보이는 최고의 조망을 보여주는 장소이자 각종 평화통일 행사를 열어왔던 '남북화해의 상징적인 장소'로 파주시민들에게 남다른 곳"이라며 "그런 장산리에 '쿠데타' '광주학살' '군부독재' '민중 탄압' '남북대결'의 상징인 전두환이 묻힐 자리는 없다"고 목소리를 냈다. 이들은 김경일 파주시장에게도 "전두환의 파주 매장에 결코 동의해서는 안 된다"며 "반대 행동에 참여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지난 2021년 11월23일 전 전 대통령이 사망한 뒤 유족들은 그동안 장지를 구하지 못해 연희동 자택에 유골을 안치해 왔다. 그러나 북녘땅이 보이는 파주시 문산읍 장산리에 전 전 대통령의 유골 안장 얘기가 나오면서 지역 내 반발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장산리 주민들도 '학살범 전두환 여기 오지 마라'라는 현수막을 내걸고 반발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전 전 대통령은 생전 자신이 사망하면 화장한 뒤 북녘땅이 보이는 곳에 뿌려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유족이 장지로 결정한 장소는 북한 땅이 보이는 사유지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