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 서석대
무등산 서석대
 
무등산국립공원 주상절리의 가로 폭이 최대 9m에 이르러 세계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무등산은 8700만년전부터 8500만년 사이에 세 차례의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됐고, 수직절벽인 새인봉과 화강암 정상인 의상봉, 숨겨진 비경 용추폭포 등과 함께 총 552종류의 다양한 식물, 38종에 이르는 포유류 등 동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광주광역시(시장 강운태)가 무등산의 지질과 생태자원의 탁월한 가치를 찾아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무등산 주상절리대 일대 학술조사 및 세계유산 등재 추진방안 연구 용역(이하 연구용역)’ 최종보고회에서 발표됐다.

4일 시청 3층 중회의실에서 열린 보고회에서 전남대 산학협력단은 지난 2012년 4월부터 1년동안 새롭게 밝혀낸 무등산 주상절리대의 최초 형성시기와 변화과정, 세계적 규모 등 괄목한 만한 성과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과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서 체계적인 전략을 소개하는 등 다양한 연구결과를 내놨다.

이번 용역은 무등산만이 가진 특성을 지질학적·자연생태학적 연구를 통해 재발견하고 규명했다는 면에서 의미를 갖는다.
 
무등산 서석대
무등산 서석대
 
시에 따르면 2012년 12월 무등산국립공원 승격에 따라 많은 탐방객이 방문하고 있으며 연구를 통해 무등산이 갖는 지질학적, 생태학적 희소성, 경관적 가치, 교육적 가치 등을 대외적으로 표명할 수 있는 객관적 근거가 마련됐다.

전남대 산학협력단은 무등산 세계화를 위해 먼저 환경부 국가지질공원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추진해 사전적 명분과 근거를 검증받는 것이 유리하다고 분석했다.

또한 자연공원법 규정에 따라 국가지질공원을 추진하는 방안을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부가 인증하는 국가지질공원을 인증받기 위해서는 지질공원과 관련된 조례와 관리전담 기구 설치 등이 선행돼야 하며 해설사 양성, 교육프로그램 운영, 지역주민과 협력하는 자연 보호체계 운영 등 추진 체계와 사회적 합의 등이 갖춰져 시행되고 있을 때 가능하다.

강운태 시장은 보고회에서 “이번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민·관·학 협력을 통한 전담기구를 설치해 역할을 분담하고 구체적인 추진계획과 일정을 수립해 국가지질공원부터 인증받을 수 있도록 모두 함께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