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아파트 경매시장 호조에 힘입어 전국 법원경매 낙찰가율이 4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대법원경매정보사이트 부동산태인이 4월 들어 전국 법원에서 매각에 부쳐진 경매물건 2만4793개를 조사한 결과 평균 낙찰가율은 68.56%로 집계됐다. 이는 올 1월(65.65%) 대비 2.91%포인트,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1.77%포인트 오른 수치다.
부동산태인은 전국 경매 낙찰가율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이유로 지난해 말 시행된 취득세 감면 혜택에 이어 지난달 발표된 4·1 주택시장 정상화 종합대책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주택경매가 시장 전체의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경매된 주택 물건 중에서도 호조세가 가장 두드러진 것은 아파트였다. 4월 들어 경매에 부쳐진 아파트는 모두 4913개로 이 중 3분의 1을 상회하는 1777개가 새 주인을 찾았다. 입찰경쟁률이 2011년 3월(7.24대 1) 이후 최고 수치인 6.68대 1로 기록하면서 평균 낙찰가율도 79.87%로 올랐다.
낙찰가율도 1월 76.3%, 2월 77.9%, 3월 79.0%에 이어 4개월 연속으로 올랐다. 아울러 4월 낙찰건수 1777개는 월간 기준, 2011년 12월(2046건) 이후 가장 많은 것이다.
다세대와 다가구(단독주택 포함) 등 아파트 이외의 주택 낙찰가율도 대체로 오름세를 보였다. 다세대 낙찰가율은 73.34%로 1월 70.36%, 2월 71.35%, 3월 72.04%에 이어 4개월 연속 상승했다. 단독주택 및 다가구는 1월 71.4%를 기록한 이후 2월 69.63%, 3월 64.19%를 기록하며 하락세를 보이다가 4월 들어 73.38%로 반등에 성공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보다 비수도권 소재 주택 낙찰가율이 강세를 보였다. 4월 비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은 88.49%로 수도권(78.25%) 대비 10.24%포인트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세대 낙찰가율도 85.86%로 수도권(71.27%) 대비 14.59%포인트, 단독 및 다가구 낙찰가율도 80.42%로 수도권(69.15%) 대비 11.27%포인트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권역을 불문하고 아파트를 포함, 다세대와 다가구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여전히 낙찰가율이 낮았다.
지난해 4월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은 79.97%로 올해보다 0.1%포인트, 다세대는 77.29%로 올해보다 3.95%포인트, 다가구는 78.8%로 올해보다 5.42%포인트 더 높았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수치는 다르지만 양상은 거의 동일했다. 다만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은 78.25%로 지난해 같은 기간(77.12%) 낙찰가율을 1.13%포인트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택 이외 물건 중에서는 토지 낙찰가율이 증가세를 보여 눈길을 끌었다. 전국 토지 낙찰가율은 1월 64.11%에 이어 2월 59.2%로 내렸으나 3월 59.52%를 기록하며 반등한 데 이어 4월 63.13%를 기록하며 2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최근 토지 낙찰가율이 오르고 있는 것은 일반 토지거래 시장이 안정세를 보이면서 상대적으로 가격 메리트가 있는 경매물건이 다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3월 기준 지가는 53개월 만에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을 넘어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 상황. 이에 따라 조금이라도 가격이 저렴한 경매장으로 입찰자들의 발길이 옮겨지고 있다는 것이다.
정대홍 부동산태인 팀장은 “4월 경매시장을 보면 정부의 종합대책과 정부기관 이전 등으로 인한 지역별 호재에 힘입어 부동산 투자 여건이 개선된 상황으로 정리된다”며 “특히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에게 높은 관심을 얻고 있는 주택과 토지가 올 상반기 경매시장 상승세를 이끌 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세대와 다가구(단독주택 포함) 등 아파트 이외의 주택 낙찰가율도 대체로 오름세를 보였다. 다세대 낙찰가율은 73.34%로 1월 70.36%, 2월 71.35%, 3월 72.04%에 이어 4개월 연속 상승했다. 단독주택 및 다가구는 1월 71.4%를 기록한 이후 2월 69.63%, 3월 64.19%를 기록하며 하락세를 보이다가 4월 들어 73.38%로 반등에 성공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보다 비수도권 소재 주택 낙찰가율이 강세를 보였다. 4월 비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은 88.49%로 수도권(78.25%) 대비 10.24%포인트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세대 낙찰가율도 85.86%로 수도권(71.27%) 대비 14.59%포인트, 단독 및 다가구 낙찰가율도 80.42%로 수도권(69.15%) 대비 11.27%포인트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권역을 불문하고 아파트를 포함, 다세대와 다가구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여전히 낙찰가율이 낮았다.
지난해 4월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은 79.97%로 올해보다 0.1%포인트, 다세대는 77.29%로 올해보다 3.95%포인트, 다가구는 78.8%로 올해보다 5.42%포인트 더 높았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수치는 다르지만 양상은 거의 동일했다. 다만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은 78.25%로 지난해 같은 기간(77.12%) 낙찰가율을 1.13%포인트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택 이외 물건 중에서는 토지 낙찰가율이 증가세를 보여 눈길을 끌었다. 전국 토지 낙찰가율은 1월 64.11%에 이어 2월 59.2%로 내렸으나 3월 59.52%를 기록하며 반등한 데 이어 4월 63.13%를 기록하며 2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최근 토지 낙찰가율이 오르고 있는 것은 일반 토지거래 시장이 안정세를 보이면서 상대적으로 가격 메리트가 있는 경매물건이 다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3월 기준 지가는 53개월 만에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을 넘어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 상황. 이에 따라 조금이라도 가격이 저렴한 경매장으로 입찰자들의 발길이 옮겨지고 있다는 것이다.
정대홍 부동산태인 팀장은 “4월 경매시장을 보면 정부의 종합대책과 정부기관 이전 등으로 인한 지역별 호재에 힘입어 부동산 투자 여건이 개선된 상황으로 정리된다”며 “특히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에게 높은 관심을 얻고 있는 주택과 토지가 올 상반기 경매시장 상승세를 이끌 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팀장은 “다만 경매주택의 경우, 일반매매에 비해 향후 양도차익을 얻을 가능성이 더 높은데도 전 소유주의 주택보유 현황을 확인할 방법이 없어 차후 양도세 부과에 대한 입찰자들의 두려움이 존재한다”며 “정책 일몰시한이 반 년 이상 남아있는 만큼 구체적인 해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